<지면> 서울대 박사 28% 실업자 상태… 취업난 역대 최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06 18: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서울대 박사학위 소지자들의 실업상태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서울대 2011년 통계연보의 ‘졸업생 취업·진학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취업하지 못했거나 조사 과정에서 진로가 확인되지 않은 ‘미취업·미상’ 항목으로 집계된 박사 졸업자 비율은 27.4%에 달했다. 이 비율은 최근 10년간 통계 중 최고치다.

조사 대상자는 2010년 8월과 2011년 2월 서울대를 졸업한 박사과정 학생으로 총 1054명 가운데 289명이 이 같은 상태로 집계됐다. ‘미취업·미상’으로 분류된 인원의 비율은 2009년 전체의 15.4%에서 2010년에는 25.3%, 2011년에는 27.4%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또한 이 비율은 최근 10년간 통계 중 최고치다.

박사과정 졸업생의 취업률 통계에서도 ‘박사실업시대’의 우울한 현실은 그대로 드러난다.

박사과정 내국인 졸업생 가운데 진학 인원과 군 입대자를 뺀 ‘순수 취업률’은 2009년 83.4%에서 2010년 73.0%, 2011년 70.3%로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 2002년의 87.9%에 비하면 10년 사이 17.6%포인트나 떨어졌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사회에 나오기 직전까지 쉽사리 진로를 정하지 못하는 졸업 예정자도 상당수로 집계됐다.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이 최근 발간한 ‘2012학년도 대학생활 의견조사’에서는 설문에 응한 박사과정 졸업예정자 252명(지난해 8월·올해 2월) 가운데 20.2%가 ‘진로 미정’이라고 응답했다. 졸업을 앞둔 박사학위자 다섯 명 중 한 명이 진로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인 셈이다.

박사 졸업예정자의 진로는 국외기관 박사 후 과정(23.0%)이 가장 많았고 학교(15.9%), 기업체(14.3%), 국내기관 박사 후 과정(9.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대학원생의 진로 문제에 대학 측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서울대 내 대학생활문화원 조사 결과 대학원 졸업예정자들은 ‘학업 문제’보다 ‘진로 문제’와 ‘경제적·현실적 문제’를 더 많이 고민한다고 대답했다. 최근 서울대 대학신문이 진행한 대학원생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학업 환경에 관한 6개 항목 가운데 ‘진로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5점 만점에 평균 2.8점으로 가장 낮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