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일각에서는 지나친 비상경영으로 서민금융 지원을 외면하거나 중소기업에 대한 무차별적인 채권회수로 '우산을 뺏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20일 금융감독원과 은행권에 따르면 올해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사상 최대였던 지난해 11조8000억원의 76% 수준인 9조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은행권 순이익은 2008년 7조7000억원에서 2009년 6조9000억원, 2010년 9조3000억원 등으로 증가세를 기록하다 올해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는 계속된 경기 부진에 부실채권이나 연체가 늘면서 충당금을 적립해야 하는 은행들의 부담은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 은행들은 6월 말 1.51%를 기록한 부실채권 비율을 연말까지 1.3%로 낮춰야 한다.
이렇다 보니 내년 실적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침체의 여파가 내년까지 이어져 가계나 기업의 부실채권 및 연체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내년부터는 은행의 건전성 규제를 강화한 바젤3가 전 세계적으로 도입돼 은행권의 부담은 더 커졌다.
이에 시중은행에서는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고 있다. 우리금융은 '슬림경영'에 본격 착수, 대규모 투자계획은 최대한 억제하고 유동성 확보 방안을 선제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불요불급한 비용 집행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농협금융도 올 경영목표인 당기순이익 1조원 달성을 위해 하반기 비상경영계획을 수립했고, KB금융과 신한금융 하나금융도 철저한 리스크 관리에 치중하고 있다.
그러나 하지만 은행들의 '긴축경영'에 대해 우려 섞인 시선도 적지 않다. 자체적으로 건전성을 관리해 부실위험을 막는 것은 바람직하나 서민금융 지원까지 외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만기연장까지 외면한다면 자칫 회생 가능한 중소기업까지 줄줄이 도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주택담보대출 중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일시상환식 대출은 약 59조9000억원, 연내 거치기간이 종료되는 분할상환식 대출은 19조2000억원에 이른다. 원금 상환이 개시되는 대출이 무려 79조1000억원에 육박하는 것이다. 여기에 은행의 신용대출 중 만기 도래 등으로 원금 상환을 개시해야 하는 대출은 17조6000억원으로 추정된다. 결국 올해 은행 빚 중 96조7000억원, 즉 100조원 가까이가 원금 상환이 개시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