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팡르바오(東方日報)는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日本經濟新聞) 보도를 인용, 100여명의 재중 일본 기업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0%가 중일간 영토분쟁으로 인한 기업 경영악화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6일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도 최근 400여명의 일본 기업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41%가 중일간 마찰이 사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일부 일본업체는 중국 시장 진출 계획을 잠정 연기하거나 중국시장에서 철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일본 업계의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동시에 중일 경제계 고위층 인사들간의 상호방문과 교류도 교착상태에 빠졌다. 우쓰다 쇼에이 일본무역협회 회장은 "과거 중일 관계가 긴장됐을 때에도 지금처럼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 경우는 없었다"며 "향후 일본 기업들의 대중(對中) 투자가 더욱 신중해 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본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일 양자간 무역액이 3400억 달러를 넘어서 중국이 일본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로 미국의 두배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일 관계 악화로 비롯된 일본제품 보이콧이 확산되면서 일본 자동차와 전자제품 수출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으며, 일본 자동차 관련 대중 수출이 1개월만 중단돼도 일본 국내 기업이 입는 손실이 3000억엔(한화 약 4조32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실제로 2010년 중일 선박 충돌사건 발생 시 일본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18만여명 줄어들면서 일본 국내소비가 318억엔(약 4590억원) 감소하는 등 중일 관계 악화는 줄곧 일본 경제에 큰 파장을 몰고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