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국민드 상당수가 부업에 적금해약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리서치전문기관 R&R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국민들의 85.2%는 우리경제가 이미 불황이라고 응답했으며, ‘아니다’는 응답은 8.8%에 그쳤다.
불황이라고 응답한 국민 중 현재의 불황이 올해 또는 내년에 종료될 것이라고 전망한 비율은 21.1%에 불과했다.
장기불황을 예측하는 국민(2014년 이후 회복)은 47.7%로 나타났다. 특히 2015년 이후 불황이 회복될 것이라고 예측한 국민은 32.0%로 가장 많았다.
대다수 국민들은 경기불황에 대한 자구책으로 69.3%가 가계지출을 줄일 것이라고 답했다. 내수악화로 인한 경기불황의 폭이 더 깊어질 것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특히 국민들은 지출감소 뿐만 아니라 부업이나 아르바이트(14.5%), 적금이나 보험 해약(10.7%) 등도 고려하고 있어 현재의 경기불황이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가를 잠작케 했다.
국민들은 현 경제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정부정책으로 물가안정(43.2%)과 일자리 창출(21.9%)를 우선적으로 꼽았다. 소비심리 냉각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물가불안을 진정시키는 한편, 일자리 창출을 통한 가계소득의 펀더멘틀을 제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권 최대의 화두인 ‘경제민주화’를 선택한 사람은 6.2%에 불과한 점은 정치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경련 배상근 상무는 “현재 국민들의 체감경기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면서, “정치권과 정부는 경제민주화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고통받고 있는 경기불황 대책 마련에 모든 역량을 쏟아 부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