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자금사정 '최악'…6사 중 1사 자본잠식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국내 상위 50대 건설사 6곳중 1곳은 자본금 잠식 상태로 나타났다. '제2의 극동건설'이 나올 것이라는 공포가 업계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실적이 있는 시공능력평가 상위 50대 건설사 중 8곳이 자본잠식 단계로 파악됐다.

자본금을 까먹고 부채로 버티는 '완전자본잠식' 상태인 벽산건설, 풍림산업, 남광토건은 증권거래소의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면 관리종목이 되고 상장폐지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더불어 금호산업(자본잠식률 87.2%), 진흥기업(42.2%), 동아건설산업(4.8%), 한일건설(78.2%), 삼호(6.8%) 등 5곳이 부분 자본잠식 상태로 드러났다. 시공능력 100위권 내에서는 우림건설(71위), 범양건영(84위)이 완전 자본잠식 상태이고 중앙건설(89위)이 부분잠식(20.1%)에 빠졌다.

기업은 적자가 증가할 수록 자본금을 소진하고 자본금이 바닥나면 도산 절차를 밟게 된다. 부동산 경기 부진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 중단 등으로 건설사들의 수주상황은 녹록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중대형 건설사의 어려움은 부채 통계자료 등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50대 건설사 부채는 올해 6월말 현재 157조9000억원 수준이다. 이는 유럽 재정위기 전인 2010년 말(153조3000억원)보다는 4조6000억원 많은 것이다. 이기간 삼성물산 부채가 8조9000억원에서 13조7000억원으로 증가한 것을 비롯 건설사 31곳의 부채가 늘었다.

시공능력평가 16위인 금호산업의 부채비율은 올해 6월말 현재 2899%였다. 또한 한일건설(1423%), 삼부토건(1045%), 울트라건설(761%), 동양건설산업(725%), 쌍용건설(692%), 고려개발(682%), 동부건설(547%) 등 순이다. 중대형 건설사의 누적부채도 심각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돌려놓기엔 업계의 건설경기 전망이 비관적이다.

4일 발표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2012년 9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는 전월대비 11.6포인트 증가해 70.6이지만 전월의 수치는 근래 2년중 가장 낮았다. 통계청의 8월 산업활동 동향에서도 8월 건설기성은 전년동월에 비해 7.3% 줄고 건설수주는 29.9% 감소해 얼어붙은 시장의 실제 모습이 드러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작년 시공능력평가 기준으로 100대 건설사 중 27곳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밟고 있다"며 "시장은 건설사들의 회사채를 살펴보지도 않는다. 회사채 발행을 통한 건설사들의 자금 조달의 방법이 막힌 것이다. 신용평가등급 평가를 포기하는 건설사도 등장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