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타성 SNG 득세, 게임생명 단축 ‘우려’

아주경제 박현준 기자=“대중이 게임에 관심을 많이 갖는 건 좋지만, 지나치게 쉽고 빨리 끝나는 소셜네트워크게임(SNG)으로만 치우치는 건 게임 생명을 단축시킬수 있어 걱정입니다”

3년차 게임 개발자 박 모씨(31, 남)의 푸념이다.

개발기간이 1년인 역할수행게임(RPG)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그는 최근 애니팡·캔디팡 등 SNG가 크게 인기를 얻자 게임회사들이 앞다퉈 쉽고 빨리 끝나는 게임 개발에 나서는 것을 우려했다.

대중이 원하는 게임을 선보이는 것도 좋지만 자칫 게임의 생명이 짧아질 수 있고, 인력과 시간을 투자한 게임이 외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SNG의 보급이 늘면서 유사한 게임이 급증하는 것에 대해 게임 생명 단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애니팡은 지난 7월 30일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지난달 11일에는 애플 앱스토어에 출시되면서 이용자수가 8월 561만 명에서 지난달 1070만 명으로 90.5% 늘어났다.

애니팡 이용자들은 지난달 기준으로 한 달에 16.7일 이상, 하루에 36.7분간 게임을 즐겼다.

이어 캔디팡 등 비슷한 게임의 출시가 잇따르며 모바일 게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게임들은 쉬운 방식과 경쟁 심리 자극 등으로 비게임인구도 끌어들이는 효과를 낳았다.

하지만 게임 업계 종사자들은 “유사한 방식의 퍼즐게임이 늘어나면서 경쟁이 과열돼 게임의 생명이 짧아져 게임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서울 가산동의 A게임 개발사에서 근무 중인 김 모씨(33, 남)는 “요즘은 탄탄한 스토리를 가진 완성도 높은 게임보다 로또 당첨을 바라듯 짧은 기간에 만드는 게임이 우후죽순 쏟아진다”며 “최근 규모가 큰 한 게임업체도 카카오톡 게임하기에 맞춰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바꿨다고 들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김 씨는 “SNG의 인기가 모바일 게임시장을 퍼즐 등 소수의 인기 장르에만 집중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러한 SNG의 인기가 부정적이었던 게임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꿔놓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최근 코리안클릭 보고서는 “캐주얼 게임의 양산이 게임 플랫폼의 초기 성숙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있다”며 “통신망 속도의 개선으로 품질이 더 높은 게임이 가능해지면 게임의 종류도 다양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