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신장이식팀은 1988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시행된 소아 신장이식 271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신장 이식을 받은 환자의 10년 생존율은 90%, 이식된 신장의 10년 생존율은 85%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소아신장이식연구회(NAPRTCS)의 이식 신장 7년 생존율인 생체기증은 75.4%, 뇌사기증은 62.1% 보다 높은 것으로, 서울대학교병원의 소아신장 이식 성적이 미국보다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이식된 신장은 시간이 지나면 기능이 떨어져 다른 신장으로 교체해야 했다. 실제로 신장 이식을 받은 소아들은 보통 평생 2~3회의 신장 이식을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식된 신장의 평균 생존기간은 점차 길어지고 있는 추세다.
1988년부터 1994년까지 이식된 신장의 평균 생존기간은 12년이었으나, 1994년부터 2000년 까지 이식된 신장은 15.9년으로 늘었다.
소아신장이식팀은 2000년 이후 이식된 소아신장의 경우 평균 생존기간은 25년 이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식된 신장의 평균 생존기간이 늘어난 이유는 △이식 후 복용하는 면역억제제의 효능이 향상되고 부작용은 감소해 장기이식에서 큰 문제 중 하나인 '거부반응'을 극복하고 있는 점 △수술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의료진의 이식 술기가 향상된 점 △이식외과·소아청소년과 등 관련 과들의 체계적인 협진 시스템이 구축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소아신장이식팀 관계자는 "미국 보고서에 의하면 이식 받은 신장(생체 신 이식 기준)의 1년·5년·10년 생존율은 각각 96%·81%·59% 일 정도로(2009 미국 USRDS 자료) 이식을 성공적으로 받은 환자도 시간이 지나면 재이식 받아야 한다"며 "신장 이식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이식된 신장의 생존기간을 늘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