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와이파이는 상반기 지역 주민센터, 우체국, 도서관, 터미널 등 전국 공공장소 1000곳에 와이파이존을 공동구축하고 무료 개방한 데 이어, 이번에 1000곳을 추가해 모두 2000곳으로 늘었다.
방통위는 이용자들이 해당 장소에서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 이름(SSID)은 ‘Public WiFi Free‘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인증을 기존 주민번호 실명인증에서 휴대전화번호나 전자우편 등록 인증방식으로 바꿨다.
휴대전화는 본인 전화번호 입력 후 문자메시지로 전송돼 온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되고, 전자우편은 사전에 본인 이메일 등록 후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만하면 이후 등록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통해 접속할 수 있어 외국인도 이용이 가능하게 됐다.
장소와 이용 방법은 공공장소 무료 와이파이존 안내 홈페이지(www.wififree.kr)에서 안내할 예정이다.
내년부터 방통위는 무선인터넷 이용격차 해소를 위해 전통시장, 보건소, 복지시설 등 서민, 소외계층 이용 시설에 대해 와이파이존 구축이 활성화되도록 지자체, 통신사와 구축 비용을 분담해 지원할 예정으로 이동통신 3사와 공공장소 와이파이존 공동구축 및 무료 서비스 제공도 지속 전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