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정부 및 관계부처에 따르면 전남과 부산, 인천, 세종 등의 지방자치단체들이 해수부 유치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민봉 인수위 국정기획조정간사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과정에서 해수부 청사를 부산에 건립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만큼 현 상황에선 부산 쪽에 다소 무게가 실린다.
반면, 이제 곧 해수부 직원이 되는 국토부와 농식품부 해양·수산부문 직원들의 목소리는 세종시를 향하고 있는 모양새다. 몇몇 직원들은 해수부가 세종시 아닌 타 지역에 들어설 경우 '세종시 사수'를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까지 내비치는 상태다.
국토부와 농식품부는 올해 1월 정부의 중앙행정기관 이전계획에 따라 세종시로 이전했다. 때문에 대부분의 직원들이 현재 세종시에서 전·월세 및 매매 등으로 집 계약을 하고 이제 막 자리잡기 시작한 상황인 것.
농식품부 어업정책과의 한 관계자는“해수부가 타 지역에 들어설 경우 직원들이 다시 집을 구하고 이동해야 하는 부분의 비용도 만만치 않다"며 "세종시로 온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타 지역으로 터전을 옮기라고 할 경우 이는 부당한 처사"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이쪽(세종시) 학교로 전학한 아이들도 이제 겨우 세종시 생활에 적응했다"고 밝힌 뒤 "(어업정책과 내) 직원들이 여러 정황상 부산 등 타 지역보다는 세종시에 해수부가 신설되는 쪽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중앙부처에서 떨어져나감으로써 해수부가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할 가능성도 이들이 우려하는 부분이다.
국토부 해운정책과의 한 관계자는 "중앙부처의 부 단위 기관을 지방으로 보낸다는 것이 업무효율 측면 등 모든 부분에서 타당하지 않다"며 "해수부가 부산을 비롯한 타 지방으로 갈 경우 정상적인 부처가 아닌 3류 부처로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