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골다공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7년 53만5000명에서 2011년 77만3000명으로 5년간 약 23만7000명이 증가(44.3%)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9.7%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같은기간 535억원에서 722억원으로 약 187억원이 증가(35.0%)해 연평균 증가율 7.9% 였다.
남성 진료인원 점유율은 약 6.4~7.5%인데 반해 여성 진료인원의 점유율은 약 92.5~93.6%로 골다공증은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2011년 기준으로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에 비해 12.3배나 높았다.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1년을 기준으로 70대이상이 37.0%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34.4%, 50대가 22.3%로 50대이상의 장·노년층에서 93.7%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고령인구가 급증하면서 2007년에 비해 2011년에는 50대이상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70대이상에서는 75.2%가 증가해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골다공증이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의 위험이 증가되는 질환을 말하며 신체의 모든 부위에서 골절이 일어날 수 있지만 특히 손목·척추, 고관절에서 자주 발생한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체중부하 운동이나 육체적 활동을 통해 골밀도를 높게 유지하려는 생활습관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