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경영 악화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는 업체들의 주장이 '엄살'로 밝혀진 셈이다.
8일 금감원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제품가 인상을 주장했던 식품업체 등기임원들의 연봉이 최대 3억원 가량 인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사외이사를 제외한 등기임원은 오너 경영자를 비롯해 대부분 사장급이다.
CJ제일제당은 지난 1월 밀가루 가격을 8.8% 올린데 이어, 된장과 고추장값은 7.1% 인상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콩나물·두부 등을, 8월에는 햇반 등 가공 식품 가격을 대폭 올렸다. 지난 정권 말기에 사실상 주요제품들의 가격을 모두 올린 셈이다.
인상 명분은 원자재가격 인상 등으로 인한 경영실적 악화 등이었다.
이처럼 앓는 소리를 하던 CJ제일제당이 지난해 등기임원 1인에게 지급한 평균 연봉은 31억8000만원으로 밝혀졌다. 전년대비 10% 가량 오른 수치다. 2011년 등기임원 1인당 평균 연봉은 28억9300만원이었다. 제품 가격을 올려 등기임원 월급을 올렸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8월 새우깡, 수미칩 등 스넥류 가격을 최대 11.1% 인상한 농심도 등기임원 보수를 전년대비 20% 가량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명의 등기임원에게 지급한 보수는 22억9434만원8000원으로 1인당 5억7358만7000원이다. 2011년 1인당 평균 지급액은 4억5051억원이었다.
참치 가격을 최대 9.8%까지 올린 동원F&B의 등기임원 1인당 지난해 평균 연봉도 1억7100만원으로 전년 1억5600만원보다 소폭 올랐다. 동원F&B의 지난해 당기순익은 211억6894만667원으로 전년 378억4001만9162원에서 대폭 감소해 경영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이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식품업체들은 경영악화 등을 이유로 어쩔수 없이 가격을 인상했다고 주장하지만 CEO를 비롯해 등기임원의 월급을 슬그머니 올린 행태는 소비자들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