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취재현장> '용산 개발 소송전' 책임은 서울시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4-09 17: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경렬 기자= 단군 이래 최대 사업으로 불리던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결국 청산절차에 들어간다. 혹자는 단군 이래 최대 '삽질'이라고도 하지만 정작 삽 한 번 떠보지 못하고 사업은 무산됐다.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이 무산된 데는 2008년 금융위기에 이은 부동산경기 침체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사업 진행 초기에는 '개발 대박'에 대한 기대감에 8000억원이었던 개발부지 땅값이 8조원까지 치솟을 정도였다. 그러나 부동산시장 침체의 직격타를 맞아 사업성이 악화된 것이다.

최대 주주인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들 간의 다툼도 문제였다. 지난달 13일 용산 개발사업의 시행사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을 때 갚지 못한 이자는 52억원에 불과했다. 출자사 간의 '네 탓' 공방에 이미 용산 개발사업의 몰락은 예고돼 있었다.

서울시도 책임이 있다. 당초 사업은 용산 차량기지 개발로 잡혀 있었다. 그런데 서울시가 한강르네상스를 내세우면서 용산 개발사업은 주체할 수 없는 규모로 커졌다.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 서울시가 합작해 일궈낸 '삽질'인 셈이다.

물론 박원순 서울시장으로서는 억울할 수도 있다. 한강르네상스는 오세훈 전 시장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기 중간에 사퇴한 오 전 시장의 뒤를 이어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했다면 이 역시 감수하고 책임져야 마땅하다.

이제 단군 이래 최대 소송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출자금을 고스란히 날릴 위기에 처한 민간 출자사들은 용산사업 시행사와 코레일, 인·허가권자인 서울시 등에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다. 서부이촌동 주민들 역시 서울시와 코레일 등을 상대로 2000억원대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태세다.

진흙탕 소송전이 벌어지기 전에 서울시가 나서 중재안 내지 대책을 내놓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그동안 색다른 정책을 펼쳐왔던 박 시장이기에 그 기대감은 남다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