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미래부, 사회이슈 해결형 기술개발 사업 추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5-03 18: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미래창조과학부가 올해 사회이슈 해결형 기술개발 사업에 나선다.

미래부는 시급히 해결이 필요한 사회이슈 3개를 선정해 100억원 규모의 시범사업을 올해 안에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사회문제 후보군을 토대로 이슈특성에 따라 주관부처와 협조부처를 정해 10개 내외의 범부처 사업추진 체계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이를 위해 3일부터 20일까지 과학기술을 활용해 해결이 필요한 사회이슈에 대한 국민제안을 실시한다.

국민제안은 연구재단 기획전문포털시스템(plan.nrf.re.kr)에서 온라인으로 접수받는다.

국민제안, 설문조사 등을 통해 모아진 이슈들은 과학기술을 통해 해결이 가능한 정도와 사회적 긴급성과 중요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달 중순 사회문제 후보군 50개 내외를 선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9월 시범사업 공고를 거쳐 10월 사업단을 선정하고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사회이슈형 사업은 기존의 연구개발(R&D)과 달리 사업기획 단계부터 필요성을 느끼는 시민, 정책을 담당하는 부처,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부처 등이 함께 협업을 통해 해결책을 마련하는 솔루션 제공형 연구개발(R&SD)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R&SD는 기술적 요소뿐만 아니라 법·제도, 이해당사자의 합의 등 비기술적 요소를 통합해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는 기존의 R&D와 사업수행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미래부는 사업을 통해 3~5년 내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에서 과학기술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새로운 공공서비스 또는 제품을 개발한다는 목표다.

식품 안전의 경우 최근 식생활 변화로 겨울철에도 노로 바이러스 등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급격히 늘어 매년 1조3000억원의 사회·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물이 오염됐는지 사전에 신속히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현재의 유해물질 검출기술로는 3~5일이 걸려 음식물 섭취 전 오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다.

바이오·나노기술을 적용한 초고속 검출센서를 개발해 보급하면 1~2시간에 학교급식 시설, 단체 급식소에서 조리 전에 식재료의 오염 여부를 확인해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산사태, 도심침수 등 재난재해 분야는 재해정보시스템, 우수 저류·침투시스템 등의 기술 개발 사업이 가능하다.

생활편의 분야의 경우 층간소음에 대해서는 저감설계기술 개발이나 충격흡수 바닥재 개발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