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308개사를 대상으로 ‘신입 채용 시 취업 공백기가 긴 지원자에 대한 생각’을 설문한 결과, 44.2%가 ‘꺼리는 편’이라고 답했다.
공백기가 긴 지원자를 꺼리는 이유로는 ‘능력이 부족해 취업이 늦어진 것 같아서’(48.5%,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직업의식이 낮을 것 같아서’(36%), ‘취업 눈높이가 높을 것 같아서’(33.1%), ‘스펙 쌓기에만 집착했을 것 같아서’(22.1%), ‘중복합격 등으로 이탈할 것 같아서’(14%), ‘나이가 많아 불편할 것 같아서’(10.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이 때 공백기가 길다고 판단되는 기준은 ‘졸업 후 1년’이 51.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졸업 후 2년 이상’(19.1%), ‘졸업 후 6개월’(15.4%), ‘졸업 후 1년 6개월’(11%)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 10곳 중 9곳(92.6%)은 지원자의 공백기간 활동에 따라 감점을 준다고 밝혔다. 감점을 주는 경우로는 ‘뚜렷한 계획 없이 시간을 보냈을 때’(77%,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구체적으로 이룬 것이 없을 때’(40.5%), ‘지원 직무와 전혀 관계 없는 일만 했을 때’(31.7%), ‘취업 목표가 일관되지 않을 때’(24.6%), ‘공백기의 활동 내용을 부풀릴 때’(12.7%) 등이 있었다.
하지만, 채용공고 상에 졸업연도 제한을 명기한 기업은 5.9%에 불과했다.
반면, 공백기가 긴 지원자를 꺼리지 않는 기업(172개사)은 그 이유로 ‘나이로 차별하는 것은 적절치 않아서’(42.4%, 복수응답)를 1순위로 선택했다. 다음으로 ‘취업의지가 확고할 것 같아서’(25.6%), ‘다양한 경험을 쌓았을 것 같아서’(24.4%), ‘공백기가 길어지는 것이 추세라서’(22.7%) 등의 이유를 들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면접에서 지원자의 공백기는 단골 질문이다. 이 때 막연히 취업 준비를 했다는 식의 대답보다는 지원 분야와 연관시켜 상대를 납득시킬 수 있는 답변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