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대신 도보나 자전거 등을 통한 인접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해 사업비 부담도 줄였다. 정부는 철도부지에 주택을 건설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등의 문제는 철저한 평가를 거쳐 최소화하기로 했다.
행복주택에 대한 궁금한 사항을 국토교통부와의 일문일답 형태로 정리했다.
▲보금자리주택과 다른 점은
-행복주택은 도심에 건설된다. 기존 보금자리주택이 주로 개발제한구역 등 도시 외곽에 건설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따라서 서민층의 실질적인 임대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부는 기존의 영구·국민임대주택보다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 등 우선 공급 대상을 다양화해 수요자 맞춤형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행복주택 건설 때 건축비 외에는 아무 돈도 안드나
-행복주택 일부 지구에서는 민간토지를 수용할 수 있다. 철도부지라고 하더라도 점용료와 사용료가 발생할 수 있다.
▲도심 공급으로 교통 체증이 우려되지 않나
-대규모 기반시설 확충보다는 보행 접근로나 자전거 길 등을 통해 인접한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할 예정이다. 대중교통 중심의 복합적 토지개발 형태인 'TOD 방식' 등을 바탕으로 단지를 설계해 교통 정체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것이다. 향후 교통영향평가 등을 통해 지자체와 협의해 주민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세심하고 구체적으로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사업시행 주체는
-기존 주택사업을 수행해온 LH(한국토지주택공사) 및 SH 등이 사업시행자로 선정된다. 이들 공사는 행복주택의 지구지정, 주택사업계획 등 사업의 전반을 주관하게 된다. 철도공사·철도시설공단·지자체 등은 철도부지·유수지·공유지 등의 대상 토지를 제공하고 점용료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업 시행관련 유관기관 간 협약 체결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변 지역 주거환경 악화에 대한 대책은
-지구 지정 및 지구계획 단계에서 실시하는 환경 및 교통영향평가와 사전재해 영향성 검토 등을 거쳐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 행복주택 건설을 통해 도심재생 및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선로 위에는 데크를 씌워 공원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소음 진동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행복주택 2차지구는 언제 발표하나
-하반기인 10월 중에 2차 후보지를 발표할 계획이다. 지금도 철도부지를 포함해 국공유지를 대상으로 후보지를 모색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