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2030년 서울 보도면적 2배 늘고 시내 제한속도 30km/h 제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5-23 14: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울 교통비전 2030(안)' 발표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2030년 서울의 보도면적이 지금보다 2배 늘어나고 시내 어디서나 공공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향후 20년간 대중교통과 도로·보행·도시철도망 등 전반을 아우르는 미래 청사진이 담긴 '서울 교통비전 2030(안)'을 23일 발표했다.

1994년 제1차 교통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 마련된 장기 구상이다. 이번 정책은 과거 차량·소유·성장에 가치를 둔 것에서 벗어나 사람·공유·환경에 초점을 맞췄다.

먼저 보행자와 자전거가 우선되는 생활환경을 만든다. 사람이 중심인 교통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1013만㎡ 규모인 시내 보도면적을 2배 확충하고, 세종로 등은 보행전용공간으로 전환한다. 연세로에 시범적으로 조성 중인 대중교통전용지구는 점차 확대하는 한편 시내 관광, 문화, 쇼핑 등을 잇는다.

자전거를 빌려 타고서 시내 어디든 이동할 수 있도록 공공자전거가 확대 운영된다. 한강·지천을 중심으로 구축된 자전거도로망은 생활권역까지 늘리고 대중교통과의 연계를 강화시킨다.

이를 위해 상암·여의도에서 운영 중인 공공자전거를 도심의 주요 지점으로 배치, 향후 한강과 각 자치구에서 만날 수 있는 자전거 대여서비스와의 연계도 추진한다.

2030년까지 서울 시내 모든 생활권 도로의 제한속도는 시간당 30㎞ 이내로 제한된다. 보행자 교통사고의 70% 가량이 13m 미만 생활권 도로에서 발생하고 있는 점을 감안, 사망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인다.

현재 전체 시내버스 가운데 27%(2022대)를 차지하고 있는 저상버스는 100% 전환시킨다. 교통약자와 일반인의 경계를 없애기 위한 조치다.

대중교통 체계는 효율적으로 재편되고, 도로공간과 차량 등을 나눠쓰는 공유문화를 정착한다.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KTX노선 및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을 통해 한양도성(기존 도심), 강남, 여의도 3개 도심은 급행으로 연결, 도심간 간선철도축을 놓는다.


철도서비스 소외지역에는 경전철을 도입하고, 수도권을 잇는 광역철도망이 지속적으로 늘어난다.

기존 자동차 위주로 쓰이던 도로공간은 보행, 자전거, 자동차 등 모든 교통수단이 함께 이용하는 '완전도로(Complete Street)' 개념을 도입한다.

카셰어링(Car-Sharing) 서비스 지점은 1200개소로 4배 이상 확대한다. 어느 장소에서나 5분 이내 이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다.

도심 승용차 분담률은 현 18.4%에서 10% 수준까지 낮추고 대중교통을 환경오염물질 무배출 차량으로 전면 바꾼다.

윤준병 시 도시교통본부장은 "혼잡하고 불편했던 서울 교통은 지난 20년 사이 교통선진도시로 발돋움했다"며 "이번 비전은 미래를 이끄는 나침반이 되어 2030년이면 승용차에 의존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생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