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지난해 전국 92개 시군의 마을 상수도에 대해 자연방사성물질 함유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상하수도정책관실에 따르면 조사대상 459개 지하수 가운데 22곳(4.8%)에서 우라늄이 미국의 먹는 물 기준치(30㎍/L)를 초과했다. 라돈의 경우는 75곳(16.3%)이 기준치(4000 pCi/L)를 넘었다.
일부 지하수에서는 우라늄이 최대 436.3 ㎍/L로 미국 먹는물 수질기준의 14.5배로 나타났다. 라돈은 최대 32,924 pCi/L로 미국 먹는물 제안치의 8배가량 높게 분석됐다.
특히 충북 괴산 지역의 개인 지하수 관정 104곳은 자연방사능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됐다. 우라늄은 2곳(1.9%)에서 기준치를 넘었고 라돈의 경우는 17곳(16.3%)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라돈은 폐암과 위암 등을 유발하고 우라늄은 신장에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먹는 물에서 우라늄은 리터당 30μg, 라돈은 리터당 4,000pCi가 최과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부는 자연방사성 물질이 높게 검출된 지역에 상수도 우선보급과 여과(폭기)시설 설치, 음용 시 조치요령에 대한 홍보책자 발간 등도 병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오는 6~7월 중 자연방사성 물질 저감처리 정수기를 보급하는 ‘나눔정수기’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라돈은 휘발성이 강해 지하수를 상온에서 약 4일 이상 둔 뒤 마시면 큰 영향이 없다”며 “마을상수도 89개 등 자연방사성 물질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된 지역에 대해서는 관할 지자체에 통보하고 급수원 변경과 저감시설 설치 등의 대책마련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