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2M VPN 보안’ 서비스는 국내 최초로 단순 통신 기능에 국한됐던 M2M 모뎀에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VPN솔루션을 탑재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 유선VPN 대비 큰폭의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 기존 공공기관, 은행, 보험사 등은 본사와 지점, 각종 단말간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가상사설망인 VPN을 설치해 유선으로 연결해 왔다. 이를 ‘M2M VPN 보안’ 서비스로 대체할 경우, 회선 설치에 드는 비용이 50% 절감되고, 유지 보수 편의성이 크게 제고된다.
또 다양한 공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도 향상될 전망이다. 그간 산간 및 도서 지역처럼 유선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곳에는 공공기관, 은행 등의 지점 설치가 어려웠지만 ‘M2M VPN 보안서비스’를 활용하면 이런 부담이 해소돼 각종 공공기관 업무, 은행 업무, 보험 업무 등 암호화된 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M2M VPN 보안서비스’는 SK텔레콤이 지난 2011년 개발한 ‘M2M용 OS 플랫폼’ 기술 덕에 가능해졌다.
기존 M2M 모뎀이 단순 데이터 전송용이거나 낮은 수준의 OS를 장착해 타 용도로 변환이 불가능했던데 반해 SK텔레콤이 개발한 M2M용 OS플랫폼은 리눅스 기반으로 확장이 용이하게 구성돼 이를 장착하면 각종 보안영역 지원, 데이터압축, 관제기능, 원격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앱 형태로 추가할 수 있다.
‘M2M VPN 보안서비스’에도 기존 M2M모뎀에 적용하기 힘들었던 시큐어 SSL 보안솔루션 기능을 탑재해 안전인증을 취득하는 등 보안 안정성을 대폭 강화했다.
특히 최근 CCTV, 홈디바이스, 지능형 로봇, 원격제어시스템, 스마트그리드 등 M2M을 활용한 다양한 솔루션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M2M 서비tm는 높은 확장성을 기반으로 각 산업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M2M VPN 보안서비스’ 론칭과 함께 금융, 보안경비, 환경 등 다양한 M2M사업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조승원 기업사업3본부장은 “M2M VPN 보안서비스 론칭은 국내 최초로 M2M 모뎀에 VPN보안 솔루션을 탑재해 M2M시장을 한단계 발전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M2M분야에 대한 지속적 연구 및 투자를 통해 향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기 기사]
- ▶신용대출보다 못한 월세대출?..출시 100일만에 벌써 '찬밥'
- ▶권상우, 230억 빌딩 주인 됐다… 건물 이름은 '룩희 1129'
- ▶강용석에서 윤창중, 임내현…연이어 터지는 공직자 性 파문
- ▶-50kg 권미진, 팜므파탈 화보
- ▶50대 돌보미 17개월 여아 머리 때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