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시리아 사태, 화학무기 살상 진실공방으로 확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8-22 17: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시리아 정부군의 화학무기 공격으로 1300여명이 사망했다는 주장에 대해 국제사회는 일제히 비난하며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시리아 정부와 동맹국은 이런 주장을 강하게 부정하고 나서 2년이 훨씬 넘도록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시리아 사태는 이에 대한 진실공방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21일(현지시간)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번 사태에 대한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긴급회의가 끝난 후 마리아 페르세발 유엔 주재 아르헨티나 대사는 기자들과 만나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명백히 하고, 상황을 신중히 주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회원국 사이에 있다”며 “회원국들은 이번에 나온 주장에 대해 강하게 우려하고 있다. 어떤 쪽이든, 어떤 상황에서든 화학무기를 사용하는 것은 국제법에 대한 위반”이라고 말했다. 마리아 페르세발 아르헨티나 대사는 이번 달 안보리 순번제 의장이다.

이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성명에서 “어떤 누구라도, 어느 경우에라도 화학무기를 사용하는 것은 국제 인도법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

유엔 화학무기조사단의 아케 셀스트롬 단장은 이날 스웨덴 방송사 SVT와 인터뷰에서 “우리가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부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시리아 정부군이 시민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보도에 깊은 우려를 표시하며 어떤 화학무기 사용도 강력히 비난한다”며 “미국 정부도 관련 정보 수집에 긴급히 나섰다. 미국은 공식적으로 유엔에 이번 사태를 시급히 조사하고 안전보장이사회를 소집해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힐러리 클린턴 당시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화학무기 사용은 미국에 ‘레드라인’이며 만일의 사태 발생 시 확실히 행동을 취할 계획”이라며 시리아 정부가 화학무기를 사용하면 군사적으로 개입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이번 시리아 정부군 화학무기 대량 인명살상 의혹은 시리아 사태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리아 정부는 관련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이날 오전 시리아 외무부는 국영방송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반군 측의 주장은 전부 거짓말”이라며 “정부가 그런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절대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유엔 화학무기조사단은 지난 19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 도착했고 이번 화학무기 공격은 다마스쿠스 외곽 도시인 구타에서 일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이유로 조사단의 즉각적인 조사가 가능한 상황에서 시리아 정부군이 굳이 화학무기를 사용했겠느냐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관영 뉴스통신 IRNA에 따르면 이란의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은 “화학무기 사용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다면 분명히 테러단체가 이를 사용했다”며 “현재 유엔(화학무기조사단)이 다마스쿠스에 있고 시리아 정부는 테러리스트를 밀어붙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왜 화학무기를 사용하겠는가?”라며 시리아에서 있은 화학무기 공격은 반군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화학무기 사용은 밝혀지더라도 그 사용주체에 대한 진실공방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시리아 반정부 단체인 시리아국민연합(SNC)은 이날 터키 이스탄불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시리아 정부군이 구타를 화학무기로 공격해 1300여명이 사망했음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