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준호 우정사업본부장(왼쪽)과 김성렬 안전행정부 창조정부전략실장이 5일 충남 공주우체국에서 농어촌 민원·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집배원을 통한 맞춤형 민원·복지서비스 제공을 내용으로 하는 행복배달 빨간자전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우정사업본부는 안전행정부와 5일 충남 공주우체국에서 농어촌 민원·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집배원을 통한 맞춤형 민원·복지서비스 제공을 내용으로 하는 ‘행복배달 빨간자전거’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함께 시범기관으로 선정된 공주우체국과 공주시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맞춤형 민원·복지서비스는 우선 독거노인 등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취약계층에게 지자체에서 발송한 연말연시 격려품, 시정소식지 등 우편물을 집배원이 배달하면서 이들의 생활 상태를 파악하고 위험상태 발견 시 지자체에서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제보하는 소외계층에 대한 생활상태 제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인·노인 등 거동불편 민원인이 지자체에 전화로 신청하면 지자체에서 발급해 등기로 발송하고 집배원이 배달하는 거동불편인 민원서류 배달도 서비스한다.
집배원이 우편배달 도중 가로등 등 시설물 고장, 도로 파손 등 주민불편사항이나 산불, 폭설로 인한 고립 등 위험사항을 발견하면 지자체에서 즉각적으로 조치할 수 있도록 집배원이 제보하는 주민불편·위험사항 신고 서비스도 포함하고 있다.
협약은 1인 고령가구의 증가, 복지정책 확대 등으로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3600곳의 우체국 직원 4만4000명의 네트워크를 갖춘 우정사업본부와 안전행정부의 부처 간 협업의 일환으로 추진한다.
우정사업본부는 앞으로 1만6000명의 집배원을 통해 지자체의 부족한 사회복지인력을 보완해 접근이 어려운 농어촌 지역 취약사항을 적시에 파악할 수 있게 돼 사회 복지 및 안전망을 강화하는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준호 우정사업본부장은 “국민과 가장 가까이에서 봉사하고 있는 우정사업본부와 안전행정부의 이번 협업을 통해 사회 소외계층에 대한 국가적 돌봄의 수준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정부3.0에서 강조하는 부처 간 협업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정사업본부와 안전행정부는 앞으로 맞춤형 민원·복지서비스를 전국 농어촌 지역 우체국과 지자체로 확대하고 주민의 안전과 삶의 질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