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현재 의원에 따르면 2009년 9월 석유공사가 인수한 캐나다 하베스트(생산광구·정유시설)의 가격은 40억달러(C$)로 무려 4조5000억원에 이른다. 이는 이명박 정부가 지난 5년간 야심차게 추진한 ‘석유공사 대형화’에 투자된 총 금액(17조8000억원)의 4분의1이 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이 사업은 계약 당시 경영권 인수 프리미엄만 4000억원을 내주고, 대대적인 대국민 홍보를 전개하면서 석유공사 대형화 사업의 상징으로 불렸다. 하지만 새 정부 들어 '해외자원개발사업 재앙'으로 불리면서 부실사업의 대표적인 케이스로 전락했다.
이 의원은 "문제의 정유업체는 캐나다 국영석유사 Petro-Canada가 1986년 1달러에 팔아치운 정유회사로 확인됐다”며 “석유공사는 1달러에 거래가 된 사실상 깡통기업을 인수하면서도, 기초적인 정보 확인이나 현장실사도 없이 성급히 계약을 성사시켜 천문학적인 국민혈세 낭비를 초래했다”고 질타했다.
이 의원이 석유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NARL은 1973년 완공된 이후부터 파산, 가동중단, 화재 등을 거듭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공사 인수 이후에도 시설 노후화에 따른 화재와 고장, 정기 유지보수 기간 증가 등으로 인해 매년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석유공사는 NARL 인수를 통해 △3년 합산 영업손실 3억 8000만달러(C$) △회계법인 자산평가결과 자산가치 감소분 5억6300만달러(C$) △생산광구에서 보전해주는 3년간 NARL 이자비용 약 9600만달러(C$) 등 지난 3년간 10억3900만달러(C$)가 증발된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2013년~2017년 NARL에서 발생할 영업손실이 4억6200만달러(C$)로 향후 5년간 평균 1000억원(9240만달러C$)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올 한해만 1억8500만달러(C$) 영업손실이 확실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의원은 “공사는 2016년부터 상황이 다소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이는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에 근거하고 있다”며 “전문가들은 NARL의 시설 노후화, 석유공사의 운영능력과 노하우 부족, 입지(섬에 위치) 및 규모의 경쟁력 열위 등으로 향후에도 사실상 영업이익 창출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석유공사 대형화사업의 최대 프로젝트였던 하베스트 사업이 사실상 총체적 부실로 드러났지만,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면서 “국책사업 추진기관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