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고구려 침공 수 양제 무덤 발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1-17 12: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공개된 수양제 무덤 사진./신화사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고구려 침공으로 우리나라에 잘 알려진 수(隋)나라 양제(煬帝)의 최종 매장지가 중국 장쑤(江蘇)성 양저우(揚州)시에서 발견됐다고 신화사가 17일 전했다. 

국가문물국과 중국고고학회는 전날 양저우에서 '수양제묘 발굴성과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3월 양저우시 시후(西湖) 진에서 발견된 두 개의 벽돌 고분이 수양제 양광(楊廣)과 소(蕭)황후의 최종 매장지역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역사기록에 따르면 양제는 대업(大業·양제의 연호) 14년이던 618년 양저우에서 부하에게 살해당했고 그의 매장지는 당(唐)나라 등을 거치면서 세 차례 옮겨졌다.

이 무덤에서는 발굴 초기부터 '수고양제묘지'(隋故煬帝墓誌)라는 글귀가 나오고 묘지에 적힌 사망시간도 '대업 14년'으로 돼 있어 수양제의 최종 매장지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왔다.

국가문물국은 이 고분에서 옥대 13개 등을 포함해 대량의 수장품과 남성 치아 두 개, 여성 유골이 발굴됐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10만9000㎡의 매장지에서 고분 흔적 136개, 도랑 2개, 벽돌터 1개, 우물 5개, 구덩이 29개 등이 발굴됐다. 그러나 매장소가 있는 릉은 아직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문물국은 수양제 무덤이 이미 수차례 도굴을 당해 많은 유물이 사라진 상태였으며 도굴시기는 중화민국(中華民國) 성립(1912년) 이전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

수나라 제2대 황제(569∼618)인 양제는 대운하(大運河) 등 초대형 토목공사를 무리하게 추진하고, 100만 명이 넘는 대군을 일으켜 세 차례 고구려 정벌에 나섰다가 실패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양제는 생전에 체계적으로 법령을 정비했으며 그가 추진한 대운하 개통은 결국 강남·북의 물류망을 연결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는 점 등 때문에 단순히 악정만을 일삼은 황제는 아니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