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지사는 이날 부산 벡스코에서 현오석 부총리 주재로 열린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향토은행 설립취지를 고려해 지역에 환원될 수 있도록 우선협상권 등 지역환에 환원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박 지사는 "광주은행은 반세기 전 지역민들의 자본으로 출범했고 IMF 경제위기를 거치며 구조조정 과정에서 2차례에 걸쳐 지역민들이 2500억원을 출자했다"며 "정부의 경우 4000억원을 출자해 이 중 85%를 이미 회수해갔지만 지역민 출자분은 아직 남아있는 상태여서 지역으로 환원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은행이 다른 지역의 은행권에 편입된다면 지역경제가 해당 지역에 종속될 수 있다는 지역민들의 우려가 큰 만큼 광주은행 매각에 다른 지역 은행의 참여를 배제해야 하며, 특히 지역 환원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건의했다.
또한 "복지행정 수요가 폭발하면서 복잡해져 비위 발생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며 "현재 어린이집에 지급하는 0~5세 보육료의 경우 부모에게 직접 지급해 어린이집에 보낼지, 직접 양육할지를 부모가 스스로 선택토록 함으로써 복지행정도 단순화하는 등 현행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현 부총리는 "광주은행의 경우 지역민의 여론을 잘 알고 있는 만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며 "보육료 등 복지예산은 제도적 측면에서 보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강운태 광주시장도 지난달 정홍원 국무총리에게 매각 진행 중인 광주은행이 지역에 환원될 수 있도록 우선협상권 등 지역자본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