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미국 양적완화 축소 전문가진단>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 “국내 실물경제 긍정 효과 기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23 06: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 연구원



아주경제 박현준 기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대해 국내 실물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 연구원은 22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조치가 국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양적완화란 정부가 국채 매입 등의 방식으로 통화를 시장에 직접 공급하는 형식의 경기부양책을 말하는데 이 규모를 줄이기로 한 것은 미국 경제 회복의 반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연준은 내년 1월부터 국채외 주택담보대출채권의 매입규모를 현재의 월 850억 달러에서 750억 달러로 줄이기로 했다.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매달 국채 450억 달러와 모기지 채권 400억 달러를 사들여 시중에 돈을 푸는 정책을 펼쳤다.

사실상 제로(0~0.25%) 수준인 초저금리 기조는 당분간 유지키로 했다.

또 규모가 크지 않고 향후 경기상황에 따라서 신축적으로 운용하겠다고 밝혀 점진적으로 진행할 뜻을 밝혔다. 

임 연구원은 “양적완화 축소가 미국 경제회복의 신호탄을 의미해 국내 경제도 수출이 증가하면서 실물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임 의원은 “경기회복 기미가 보이면서 자금이 미국으로 흘러갈 수 있지만 예견된 범위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므로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감을 조성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유럽이나 일본 등의 선진국은 양적완화를 자체적으로 하고 있기에 큰 영향은 받지 않고 신흥국도 자금이 유출될 우려가 있긴 하지만 점차적으로 진행할 경우 크게 문제가 발생할 확률은 적다는 설명이다.

임 연구원은 양적완화 축소로 인해 달러 강세 현상이 나타나면 자동차 등 전통적으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 부문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달러 강세가 본격화되면 자금 이탈은 더욱 속도를 낼 수 있고 이로 인해 엔화 약세가 가속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그는 우리 정부의 철저한 준비와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임 연구원은 “정부는 자금의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미국의 정책을 예의주시해 선제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 및 외환시장은 물론 실물 경제에 미칠 장·단기적 영향을 꼼꼼하게 점검하고 대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그는 “양적완화 축소가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현행 금리를 유지한다는 입장이기에 금리 정상화는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