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사용에 대한 불안심리가 커지면서 정부는 당장 카드사업 관련 규제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카드사업에 신규 진출하려는 증권업계에도 예외가 아니다.
21일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국내 증권업계가 카드사업 진출에 앞서 내부통제를 비롯한 영업기반을 제대로 갖춰 온 것으로 본다"며 "하지만 정보유출 사태에 따른 새 정책을 통해 증권사 역시 강화된 관리감독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주요 증권사는 2013년 7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을 통해 올해부터 카드사업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정보유출 사태가 터지기 전만 해도 증권업계에서는 새 사업 진출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회사별로 보면 현대증권이 오는 2월 가장 먼저 자체 체크카드 출시를 계획이다.
삼성증권 및 신한금융투자, 미래에셋증권, 메리츠종금증권 또한 상반기 내에 현금 집적회로(IC)카드 서비스를 선보이기로 했다.
하반기에는 KDB대우증권이 체크카드를 출시한다. 현금 IC카드는 금융결제원 결제망을, 체크카드는 카드사 결제망을 이용한다.
증권업계는 이번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사태를 계기로 마케팅보다는 보안강화에 먼저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KDB대우증권 관계자는 "정보유출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한 구체적인 예방책이 마련된 뒤에야 실제 상품이 출시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당장 다음 달 체크카드를 내놓는 현대증권이다.
현대증권은 기존 개인정보 보호시스템 외에 추가적인 보안 솔루션 도입 및 물리적인 전산센터망 분리를 추진한다.
이 회사 관계자는 "아직 감독당국으로부터 개인정보 유출 관련 구체적인 지침이 내려오지는 않았다"며 "자체적으로 보안을 강화한 뒤 추후 정부 정책에 맞춰 시스템을 개선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당장 22일 카드사 정보유출 사태에 따른 재발 방지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안에는 과도한 개인정보 요구관행 전면개선, 카드해지 후 개인정보 삭제, 불법 유출정보를 이용한 마케팅 차단, 정보유출 금융사에 대한 징벌적 과징금 제도 도입, 유출 관련 당사자에 대한 형사처벌 강화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일단 카드사를 중심으로 한 대책이지만 이번 사태 경중을 감안할 때 카드사업에 새로 진출하는 증권사 역시 규제 대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증권사가 이번 사태로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 또한 높지 않다는 얘기가 나온다.
A증권 관계자는 "기존 카드사가 엄청난 마케팅 비용을 투입해 온 국내 카드시장은 진입장벽이 턱없이 높은 시장"이라며 "증권사 입장에서 이번 사태로 이탈 고객 잡기 같은 반사이익을 누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