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추가핵실험 위협속 6자회담국 협의 본격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06 15:3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7일 워싱턴서 한미일 수석대표 회담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북한이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 가능성까지 언급하면서 한반도 정세가 미묘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6자 회담국간의 왕복 외교가 다시 속도를 높이고 있다.

북핵 6자회담 우리측 새 수석대표로 임명된 황준국 신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6일 오전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했다.

황 본부장은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에 참가하는 데 이어 미국, 일본과 각각 양자 회담을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3국 수석대표 회담은 지난달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한미일 3국 정상회담 합의에 따른 것이지만 최근 북한의 추가 핵실험 위협 속에 이뤄져 주목된다.

 따라서 3국은 이번 회담에서 북한의 추가 핵실험 도발을 차단하기 위한 공조 방안을 집중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외무성 성명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위협한 의도와 그에 따른 한반도 정세 변화를 평가하면서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북한의 진정성 있는 사전조치가 필요하다는 3국의 대북 기조도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경고 차원에서 북한의 핵실험을 차단하기 위한 메시지도 중요하지만 대화의 문이 닫힌 것은 아니므로 양쪽을 같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측은 북한과 당국간 접촉을 이어가는 일본이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의 북핵 공조에 잘못된 판단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북한과 일본이 이후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방침을 명확히 함에 따라 언제 어떤 방식으로 후속 협의가 이뤄질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북한과 일본은 일정을 명확히 하지 않았으나 일본 언론은 양측이 6일 현재 접촉 중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납북자 문제 등 인도주의적 사안 논의를 위한 북일대화 진전의 이유로 북핵·미사일 도발로 취해진 일본의 대북 독자제재가 완화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이 정부 내 대체적인 기류다.

한미일 3국은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포괄적인 의견을 교환할 할 것으로 예상된다.

황 본부장은 한미일 협의를 토대로 중국과도 북핵 문제 대응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일정을 잡고 있다.

중국은 추가 핵실험에는 '결연히 반대한다'는 입장이며 북핵 대화는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미중 간에도 별도 협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중국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조만간 미국을 방문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