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번 합의를 통해 포스코켐텍 노사는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 경영 성과금으로 전환키로 하는 등 민감한 통상임금 이슈를 슬기롭게 풀어냈다.
회사는 성과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을 통해 직원이 열심히 일해 실적을 낸 만큼 더 많이 보상받을 수 있는 길을 열었고, 노조는 회사의 미래와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의미로 자발적 합의에 나서며 상생의 지혜를 발휘했다.
이번 포스코켐텍 노사합의의 핵심은 성과배분제의 개선이다. 포스코켐텍은 기존에 지급하던 고정성 정기상여의 일부를 실적과 연동한 경영 성과금으로 전환했다. 이와 함께 경영성과금의 상한액을 확대해 영업이익 증가에 따라 직원들이 그 성과를 더 공유할 수 있도록 임금체계를 개편했다.
이러한 통상임금에 대한 노사의 합의가 없었다면 초과근로수당 등 인건비 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라 회사는 야근, 휴일 특근과 고용 줄이기에 나설 수밖에 없어 직원들이 얻는 실익이 없는 상황이었다.
포스코켐텍은 이번 2014년 임금조정을 통해 기본급 2.5% 인상과 함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상주근무자 업무몰입 장려금 지급, 워크라이프 밸런스를 위한 리프레시 휴가 의무사용일수 폐지, 보상휴가제, 휴일대체근무제 도입 등 연장근로 보상방법 다양화 등에도 합의했다.
포스코켐텍 관계자는 “이런 노사화합의 비결은 노사 간의 신뢰와 소통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신사업 등에서 성과를 거두어야 한다는 비전에 구성원 전체가 공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포스코켐텍 노사는 올해로 18년째 임금협상 무교섭 합의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