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이체, 잔액 조회 등이 중심을 이뤘던 모바일 금융이 대출 등 다양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12일 은행업계 따르면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이 모바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을 출시했거나 출시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이르면 내년 초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 아파트론(가칭)’을 선보일 예정이다.
대출 가운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진 주택 관련 대출도 모바일로 해결할 수 있는 시대가 한 걸음 가까이 다가온 것이다.
우리은행이 준비 중인 상품은 가입을 원하는 고객은 우선 소득, 직장, 대출 대상 아파트 등의 정보를 자신의 모바일 단말에 입력해야 한다. 이후 우리은행 담당자가 이를 확인하고 대출심사시스템을 통해 대출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앞서 하나은행이 지난 8월 출시한 ‘원클릭 모기지론’은 모바일과 영업점 방문의 중간 성격을 지난 주택 담보대출로 평가 받는다. 이 상품은 전화로 상담하고 대출에 필요한 서류는 팩스로 받는 등의 절차로 대출이 이뤄졌다.
12일 은행업계 따르면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이 모바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을 출시했거나 출시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이르면 내년 초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 아파트론(가칭)’을 선보일 예정이다.
대출 가운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진 주택 관련 대출도 모바일로 해결할 수 있는 시대가 한 걸음 가까이 다가온 것이다.
앞서 하나은행이 지난 8월 출시한 ‘원클릭 모기지론’은 모바일과 영업점 방문의 중간 성격을 지난 주택 담보대출로 평가 받는다. 이 상품은 전화로 상담하고 대출에 필요한 서류는 팩스로 받는 등의 절차로 대출이 이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