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청와대 문건 유출 혐의 최모 경위 죽음, 국조·특검·청문회 도입 불가피”

비선 실세로 지목된 정윤회 씨가 10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했다. 검찰에 출석한 정윤회 씨는 자신이 청와대 비서진과 비밀회동을 갖고 국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사진=아주경제 유대길 기자 dbeorlf123@]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은 14일 청와대 비선실세 국정개입 문서유출 혐의로 조사를 받던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 최모(45) 경위가 목숨을 끊은 것과 관련, “국회 청문회와 국정조사 등 국회 차원의 진상 조사와 함께 특별 검사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김성수 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브리핑에서 “(검찰의 무리한 수사로) 이제 검찰 수사는 더 이상 신뢰하기 어렵게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검찰은 지난 3일 최 경위의 집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9일 체포한 뒤 10일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등 최 경위를 강하게 압박했지만, 구속영장은 기각됐다”며 “검찰이 속전속결해야 한다는 초조함에 무리하게 수사하고 영장을 청구했다는 방증”이라고 힐난했다.

 

10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 고소인 자격으로 출석한 정윤회 씨. [사진=아주경제 남궁진웅 기자 timeid@]


김 대변인은 “최 경위는 너무 억울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겼고, 최 경위의 유족은 ‘너무나 힘들고 견디지 못할 정도로 압박에 시달렸다고 억울한 내용이 유서에 나와 있다’고 전했다”며 “(정확한 진상은) 아직 파악하기 어렵지만, 한 사람을 죽음으로까지 내몬 데에는 그럴 만한 충분한 사정이 있었을 게 분명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최 경위가 '검찰도 누가 지시하느냐. 결국은 모두 위에서 지시하는 것 아니냐. 퍼즐 맞추기'라고 했다는 유족들의 말에 주목한다”며 “검찰은 강압이 없었다고 하지만 최 경위가 윗선의 지시에 의한 짜맞추기 수사라고 믿을 만한 정황이 있었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거듭 국회 차원의 국조·특검·청문회 도입을 촉구했다.

한편 13일 오후 2시 30분께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장천리 도로변 승용차 운전석에서 최 경위가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차 안 조수석에서는 번개탄 1개가 놓인 화덕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