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인터넷에서 열차표를 싸게 판다거나, 휴대전화 문자에 배송 일정을 확인하라는 인터넷주소(URL)가 찍혀 있는 경우는 주의해야 한다.
경찰청은 추석을 맞아 다음달 5일까지 20일간 인터넷 사기와 문자결제 사기 등을 중점 단속한다고 16일 밝혔다.
단속 대상은 상품권, 공연 예매권, 승차권 등을 싸게 팔겠다는 인터넷 사기와 택배 지연에 따른 배송조회, 추석인사, 선물 확인 등 다양한 사칭 문구의 스미싱 범죄다.
지난해 추석 명절 전후인 2주간 '사이버범죄 신고 시스템'에 접수된 인터넷 사기 피해건수는 하루평균 6.3건으로 지난해 전체 평균보다 21.3%나 급증했다.
사기 수법은 상품권이나 승차권 할인판매의 글을 올린 뒤 돈을 계좌이체로 받고 잠적하는 게 대부분이다. 경찰은 카드결제나 에스크로를 활용하지 않고 계좌이체만을 고집하는 판매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또 '추석물량 증가로 배송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배송일정 확인하세요', '선물세트 주소지로 보냈습니다', '명절 상품권 보내드렸습니다'라는 내용과 함께 'http"//go9.**/x7*'와 같은 인터넷 주소가 붙은 문자가 오면 스미싱으로 의심해야 한다.
최근 스미싱은 단순한 소액결제 피해를 넘어서 피해자 스마트폰에 저장된 주소록, 사진, 공인 인증서 등을 탈취해 더 큰 금융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찰은 경고했다.
경찰은 인터넷 거래 시 사이버 범죄 예방 정보 애플리케이션인 '사이버캅'이나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더 치트 등에서 사기에 이용된 전화번호나 계좌인지를 확인하라고 권고했다.
문자의 인터넷주소를 클릭하지 말아야 하고, 스마트폰 보안설정에서 '알 수 없는 출처의 설치 금지'를 해 놓아야 한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