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민속박물관은 오는 7월부터 '우리 가족 박물관 나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새롭게 운영한다. 사진은 '종가에서 전하는 가정교육과 음식이야기' 전시물을 둘러보고 있는 참가자들 모습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은 오는 7월부터 박물관을 방문하는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을 대상으로 '우리 가족 박물관 나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새롭게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나무와 떠나는 사랑방 여행 △나의 출생 이야기 △관상감 관리의 시간 읽기 △종가에서 전하는 가정교육과 음식이야기 등 4개로 구성됐다.
박물관 상설전시실 2관에 전시된 목가구들을의 짜임과 쓰임을 다루는 나무와 떠나는 사랑방 여행은 매월 첫째 주 일요일에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사랑방의 공간 배치를 비롯해 서안, 문갑, 사방탁자 등 목가구들을 살펴보고, 서안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재령이씨 이함의 유훈이 담긴 '충효당 현판'과 이함의 며느리인 안동장씨의 가정교육이 담긴 '음식디미방'을 통해 조선시대 양반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된다.
셋째 주 일요일에는 어린이들이 직접 관상감 관리가 되기 위해 조선시대 시간의 비밀을 푸는 '관상감 관리의 시간 읽기'가 진행되며, 둘째 주 일요일에는 부모와 함께 출생부터 돌을 맞이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시간도 마련된다.
우리 가족 박물관 나들이는 인터넷 사전 접수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프로그램 관련 자세한 사항은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누리집(www.kidsnf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