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수도권에서 분양한 한 건설사의 모델하우스 모습. 방문객들이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올해 주택인허가 물량이 60만가구 규모가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2016년 주택인허가물량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인허가물량은 59만∼63만가구 가량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지난해의 78% 수준에 그치지만 당초 전망치보다는 높은 수치다.
이에 따라 국토연구원은 올해 인허가물량이 여러 요인을 감안한 예상치보다는 많다고 보고 미분양 주택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모니터링과 선제적 관리 등도 필요하다고 봤다.
특히 국토연구원은 올 상반기 주택인허가물량이 지난해보다 많았던 것을 두고 주택시장이 점차 조정국면에 접어들면서 건설사 등 공급자들이 조정국면 시작 전 주택공급을 늘린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4월 누계 기준 주택인허가물량은 총 22만2684가구로 지난해 대비 30.9%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8.3%, 지방이 45% 가량 뛰었다.
다만 국토연구원은 올 하반기 인허가물량은 상반기보다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박천규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 연구센터장은 “주택인허가물량 증가는 미분양 주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모니터링과 선제적 관리는 물론, 건설사들의 자체 관리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