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이른바 연기연금제도를 활용해 조금 늦더라도 더 많은 국민연금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해마다 늘고 있다.
22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기연금 신청자는 2010년 1075명, 2011년 2034명 등에 불과했지만 2012년 7763명으로 껑충 뛴 뒤 2014년 8475명, 작년에는 1만4464명으로 불어났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올해는 5월까지 6228명이 연기연금을 신청했다.
특히 2012년과 2015년에 연기연금 신청자가 갑자기 늘어난 것은 2012년에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연기연금을 신청할 수 있도록 제도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전까지는 일정 소득이 있을 때만 연기연금을 신청할 수 있었다.
또 2015년 7월 말부터 국민연금법 개정으로 '부분' 연기연금 제도가 도입돼 수급권자가 자신의 경제사정에 따라 연금수급 시기와 액수를 스스로 고를 수 있게 되는 등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연기연금 신청자가 증가하는 것은 국민연금을 받지 않아도 생활에 지장이 없을 만큼 소득이 있고, 조금 늦더라도 더 많은 연금을 받아 노후를 대비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는 다른 연금선진국보다 늦은 2007년 7월부터 연기연금제도를 시행했다.
수급권자가 연금 타는 시기를 최대 5년까지 늦추면 연기한 기간을 따져 연 7.2%(월 0.6%)씩의 이자를 가산해 노령연금액을 더 얹어서 주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은 "연기연금은 수령 기간에 따라 연금액에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개인의 건강과 소득 등을 고려해 신청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