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에 압수된 도난 문화재 '동의보감' 초간본. 오른쪽 둘째줄 '내사기' 부분이 훼손됐다. [사진=경기북부지방경찰청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국보급 문화재인 '동의보감' 초간본과 보물 '대명률' 등 도난 문화재 3800여점이 회수됐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전국의 사적지, 사찰, 고택 등에서 문화재를 훔친 도굴꾼 설모(59)씨와 문화재 절도범 김모(57)씨, 훔친 문화재를 사들인 김모(67)씨 그리고 매매업자 이모(60)씨 등 18명을 문화재보호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고 3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스님이었던 매매업자 이씨는 1999년 절도범 김씨에게 구입한 동의보감을 경북의 한 사찰에 2000만원을 받고 팔았다. 경찰은 유명 사찰에 장물로 의심되는 동의보감이 있다는 첩보를 바탕으로 이씨가 장물을 매입해 되판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에 압수된 동의보감은 25권 한 세트로, 국보 319호와 같은 판본이다. 허준이 광해군 2년(1610년)에 편찬한 의서인 동의보감은 일본, 중국에서도 출판될 정도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규장각 등에 보관돼 있으며 지난해 6월 국보로 지정됐다.
검거된 문화재 절도범들은 처벌을 피하기 위해 훔친 문화재 대부분을 자신들의 주거지에 보관해 오다 장물 시장에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장물을 거래할 때는 원래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도록 '내사기'(궁에서 책을 누구에게 하사한다는 기록)를 오려내고(동의보감), 앞·뒤 표지를 일부러 훼손(대명률)하기도 했다.
경찰 측은 "문화재 절도범 등에 대한 첩보 수집을 강화하는 동시에 문화재청, 공항 등과 긴밀한 협조를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