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하수처리장[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기존 하수처리장을 이전·현대화하면 운영비가 대폭 절감되고, 시설보강이 불필요하다"며, "기존 부지의 효율적 활용 등으로 시민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올해 하수처리 위탁운영비는 인건비 등 일반운영비와 시설투자 위탁비를 합쳐 503억원이고 이중 473억원이 대전시설관리공단에 지급됐다"며, "내년도 하수처리 위탁운영비(3·4공단 포함)는 총 5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어 "시설관리공단에 위탁관리를 시작한 2001년(110억 원) 이래 19년간 운영관리비는 매년 8.83% 인상됐다"며, "최근 5개년도 연 증가율 3.67%를 적용할 경우에도 오는 2026년에는 인건비 및 원자재비용 상승 등 원인으로 연간 하수처리비용이 약 682억 원에 이른다"고 덧붙혔다.
이미 시설노후화가 진행중인 대전하수처리장을 사용할 경우 "지상에 노출된 침전지의 악취저감용 덮개시설 설치, 정부의 방류수질 강화에 따른 2021년도 시설고도화사업(700억 원), 2026년 대규모 시설보강(1,600억 원)이 필요해 시설개선 및 운영관리비는 급증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사업을 적기에 시행할 경우 지하화 및 첨단시설로 인해 악취문제 해소와 연간 약 402억 원의 위탁운영관리비로 현행대비 연 평균 최소 100억원 대의 운영비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어,하수처리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기존 원촌동 하수처리장 부지(404,000㎡) 및 오정동 위생처리장 부지(15,000㎡)의 일부 매각 등을 통해 민간시설 투자비의 일정부분을 조기 상환한다면 운영비 절감효과와 더불어 하수도요금 추가부담은 극히 적다는 것이 시의 주장이다.
이와관련 손철웅 대전시 환경녹지국장은 “ 시민부담은 최소화하고, 하수처리 효율성은 극대화 한다는 것이 대전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 추진의 기본방향이다”라며 “ 기존 부지의 효율적 활용으로 대전발전의 새로운 기폭제로 승화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