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전하수처리장 이전·현대화관련 , 시민 부담은‘미미’

  • 위탁운영비 대폭절감, 시설보강 불필요 등으로 장기적 큰 이익

대전하수처리장[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는 1일 최근 일부 시민단체와 정당이 제기하고 있는 '대전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에 따른 시민부담 논란과 관련 “시민 추가부담은 미미한 수준으로, 하수도요금 급증 주장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기존 하수처리장을 이전·현대화하면 운영비가 대폭 절감되고, 시설보강이 불필요하다"며, "기존 부지의 효율적 활용 등으로 시민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올해 하수처리 위탁운영비는 인건비 등 일반운영비와 시설투자 위탁비를 합쳐 503억원이고 이중 473억원이 대전시설관리공단에 지급됐다"며, "내년도 하수처리 위탁운영비(3·4공단 포함)는 총 5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어 "시설관리공단에 위탁관리를 시작한 2001년(110억 원) 이래 19년간 운영관리비는 매년 8.83% 인상됐다"며, "최근 5개년도 연 증가율 3.67%를 적용할 경우에도 오는 2026년에는 인건비 및 원자재비용 상승 등 원인으로 연간 하수처리비용이 약 682억 원에 이른다"고 덧붙혔다.

이에따라 물가변동과 대수선비, 대규모 시설보강이 없이 원촌동 하수처리장과 오정동 위생처리장, 신탄진 하수를 위탁처리할 경우 "2026년부터 향후 30년간의 위탁운영비는 최소 1조5천억 원대에서 2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 시설노후화가 진행중인 대전하수처리장을 사용할 경우 "지상에 노출된 침전지의 악취저감용 덮개시설 설치, 정부의 방류수질 강화에 따른 2021년도 시설고도화사업(700억 원), 2026년 대규모 시설보강(1,600억 원)이 필요해 시설개선 및 운영관리비는 급증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사업을 적기에 시행할 경우 지하화 및 첨단시설로 인해 악취문제 해소와 연간 약 402억 원의 위탁운영관리비로 현행대비 연 평균 최소 100억원 대의 운영비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어,하수처리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기존 원촌동 하수처리장 부지(404,000㎡) 및 오정동 위생처리장 부지(15,000㎡)의 일부 매각 등을 통해 민간시설 투자비의 일정부분을 조기 상환한다면 운영비 절감효과와 더불어 하수도요금 추가부담은 극히 적다는 것이 시의 주장이다.

이와관련 손철웅 대전시 환경녹지국장은 “ 시민부담은 최소화하고, 하수처리 효율성은 극대화 한다는 것이 대전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 추진의 기본방향이다”라며 “ 기존 부지의 효율적 활용으로 대전발전의 새로운 기폭제로 승화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