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저탄소 사회' 국가전략, 국민과 머리 맞댄다

  • 저탄소 포럼 의견, 정부안으로 유엔기후협약 제출

  • 8일 '2050년 저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국민토론회'

2050년까지 저탄소 사회로 가기 위한 국가 전략을 국민들과 논의하는 장이 열린다.  

환경부는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50년 저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국민토론회'를 연다고 6일 밝혔다.

이날 '2050 저탄소 사회 비전 포럼'에서는 전문가와 산업계, 시민사회, 미래세대 등이 전망하는 저탄소 미래상을 알아보고, 국민과 의견을 공유한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 윤제용 환경정책·평가연구원장, 김정욱 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을 비롯해 200여명이 참석한다.

저탄소 포럼은 파리협정에 따라 2020년까지 국제사회에 제출할 '2050년 국가 저탄소 발전 전략' 마련을 위해 올해 3월 환경부가 발족한 기구다. 에너지전환·산업·수송·건물·청년 등 7개 분과에 7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다.

행사는 '저탄소 포럼 추진 경과', '청년들이 바라보는 저탄소 미래' 발표와 '저탄소 사회 전환과 국가 미래상' 등 3개 주제에 대한 발제와 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한다.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은 저탄소 포럼의 '2050년 국가 저탄소 발전전략' 권고안 마련에 참고 자료로 반영한다.

저탄소 포럼이 올해 12월 권고안을 정부에 제시하면, 정부는 내년 상반기 부처 협의 및 국민 의견 수렴을 거쳐 하반기에 정부안을 확정해 유엔기후협약에 제출한다.

토론회에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홈페이지 참여마당의 공지사항을 참고해 신청 가능하다.
 

2050년 저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국민토론회. [사진=환경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