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E&A. 대한항공과 함께 미국 지속가능항공유 시장 진출

  • 2세대 SAF 생산 플랜트 참여 검토...대한항공이 초기 수요자

사진삼성EA
남궁 홍 삼성E&A 사장(오른쪽)과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왼쪽)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삼성E&A]

삼성E&A가 대한항공과 손잡고 미국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삼성E&A와 대한항공은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SAF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서명식에는 남궁 홍 삼성E&A 사장과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MOU는 △해외 SAF 생산 프로젝트 발굴 및 검토 △SAF 장기 구매 참여 검토 및 상호 지원 △SAF 관련 신기술·프로젝트 투자 검토 △대한항공의 삼성E&A 'SAF 기술 동맹' 파트너 참여 등을 골자로 한다. 양사가 보유한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안정적인 SAF 생산·공급망을 구축하는 한편 관련 사업 기회를 발굴하는 데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양사는 첫 번째 협력 대상지로 미국 시장을 주목하며 현지 프로젝트 참여 방안을 본격 검토할 예정이다. 미국은 SAF 생산에 필요한 원료가 풍부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SAF 생산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양사는 SAF 생산의 처음과 끝을 담당하는 주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삼성E&A는 플랜트 수행 기술력을 제공하고 대한항공은 안정적인 SAF 수요처 역할로 프로젝트 전반에 탄력을 주는 '윈-윈'모델이다.

삼성E&A는 EPC(설계·조달·시공) 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 현지에서 추진되는 2세대 SAF 생산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다. 회사는 목질계 폐기물을 고온에서 가스화 한 후 다시 액체연료로 전환하는 '가스화-피셔-트롭시(FT·Fischer-Tropsch)' 기반 2세대 SAF 생산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 기술은 폐식용유 등 제한된 원료만 사용 가능했던 1세대 SAF의 한계를 넘어 폐목재와 같은 비식용, 폐기성 바이오매스까지 원료 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며, 탄소감축 효과도 커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대한항공은 이곳에서 생산된 SAF를 구매하는 오프테이커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오프테이커는 일정 기간 동안의 생산량을 고정적으로 사들여 신규 에너지 사업 기반을 안정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해외에서는 델타항공, 에어프랑스, 유나이티드항공, 아메리칸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등 주요 항공사들이 이 같은 방식으로 글로벌 SAF 생산 활성화와 공급망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삼성E&A 관계자는 "SAF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오프테이커인 대한항공과 함께 참여해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 발주처 신뢰를 얻어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이라며 "앞으로 에너지 전환 분야 신사업 참여를 확대해 중장기 지속성장의 동력으로 키워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E&A는 지난 몇 년간 SAF, 탄소 포집, 수전해, LNG 등 에너지 전환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 개발, 투자, 파트너십 등을 진행해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말련 SAF 플랜트 수주, 미국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수주, UAE 생분해성 플라스틱 플랜트와 인니 친환경 LNG 플랜트 기본설계 수주, 북미 LNG 개념설계 수주 등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