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교육부 지침은 전원 기숙사 1인실 수용이라고 하는데, 일단 1인실이 없어서 2인실과 4인실을 비워야 합니다. 단독 입주시키려면 한국 학생을 나가게 해야 하는 문제도 생기고요. 중국인 유학생들이 비용 부담 때문에 주변 원룸에서 4~5명이 집단 거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교육부의 비현실적인 책임 떠넘기기 면피행정 아닌가요?” (천안 B대학 총장)
#3. “이번 주부터 중국인 유학생 귀국이 이어져 계속 비상 근무 중이에요. 방역을 철저히 하라는 지침이 내려왔는데, 지금은 소독업체 구하기도 쉽지가 않아요. 업체들도 꺼리더라고요. 만약 이런 상황에서 의심 증상자나 확진자가 나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죠.” (충북 C대학 기획처장)
대학은 모든 중국인 유학생의 등교 중지 14일 동안 1일 1회 이상 유선이나 방문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대학 자체적으로 이뤄지는 마스크, 손 세정제와 방역 비용도 부담이지만, 교육부의 중국인 유학생 1인 1실 지침에 따라 격리 유지에 대한 추가 비용이 들 수도 있다. 기숙사가 부족한 일부 대학은 자가격리 대상자가 나오면 학교 게스트하우스나 인근에 1인 1실로 숙소를 구해야 하는 부담도 떠안게 됐다고 호소한다.
하지만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23일 “기숙사뿐만 아니라 자가 격리 중인 학생들을 모니터링하는 데 들어가는 인력을 충분히 확충할 수 있도록 예비비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자체와 협조해 임시 거주공간을 확보할 것”이라면서 “서울에선 인재개발원 등 5곳에 주거 공간 353실을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25일 기준 서울시교육청 수련원에 추가로 149실을 확보했고, 경기도 역시 5개 시군에서 거주시설 7개소를 확보한 상황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 교육부, 보건당국과 지자체는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면서 “만약 격리대상자가 발생하면 지자체와 연락해 수용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