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드러난 악수(惡手)… 사모펀드 규제완화 후유증 여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양성모 기자
입력 2020-04-01 02:1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지난해 적자 자산운용사 60% 2015년 이후 설립

2015년 사모펀드 규제완화로 자산운용사들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서면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질적 성장이 아닌 양적 성장에 치우쳤고, 대내외 경제 환경이 악화되면서 자본시장이 살얼음판으로 변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지난해 적자를 낸 자산운용사의 60%가 2015년 이후 설립된 운용사들로 확인됐다.

31일 금융투자협회에 공시된 자산운용사 291개사(보고서가 검색되지 않은 한국대성자산 제외)의 4분기 영업보고서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188개사가 흑자를, 103개사가 적자를 냈다. 특히 적자 자산운용사의 60%인 67개사가 2015년 이후 설립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적자 103개사의 순손실 규모는 672억7693만원이며, 그중 2015년 이후 설립돼 적자를 기록한 운용사의 총 손실은 273억2931만원으로 40.62%에 달했다.

대부분 주식 및 파생상품 운용으로 손실을 봤거나 이익 자체가 전무했기 때문이다. 일례로 지난해 11월 20일 전문사모집합투자업에 등록한 A운용은 작년 4억5554만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파생상품 관련 이익으로 55억1725만원을 기록했으나 운용손실액 53억7904만원에 판관비가 더해지면서 실적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B자산운용은 수수료수익으로 486만원을 거둔 반면 판관비로만 3억3402만원을 써 3억2843만원의 손실을 냈다.

2015년부터 금융당국은 한국형 헤지펀드 투자의 최저한도를 5억원에서 1억원으로 낮추고, 경영참여형 사모펀드는 10억원에서 3억원으로 내리는 등 사모펀드 규제 완화에 나선 바 있다. 이에 따라 전문사모펀드 운용사들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섰고 일부 운용사들의 부실로 이어진 것이다.

신규 자산운용사들의 이 같은 실적 부진은 예견돼 왔다는 게 관련업계의 분석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운용사 설립요건을 완화해 준 이유는 사모운용사들의 건전성이 악화되자 문제가 될 수 있어 완화해 준 것으로 안다”며 “하지만 검증되지 않은 운용사들이 대규모로 늘었고 시장 상황이 악화되면서 결국 무더기 적자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의 무리한 자본시장 확대 부작용은 2018년 코스닥 활성화를 위해 도입한 벤처코스닥 펀드 사례에서도 드러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펀드를 만들 때 운용사들이 물량을 채워야 하다 보니 무리를 많이 했다”며 “여러 운용사들이 비상장사 주식관련사채(메자닌)를 보유 중인 운용사들에게 기업에 대한 검증도 없이 프리미엄을 얹어 넘길 것을 주문했었다”고 말했다.

즉, 유동성이 없는 물건이 펀드에 담겼고 이 펀드가 개방형 상품으로 나오면서 환매 지연 등의 사태로 이어진 것이다.

관련업계는 금융당국의 과도한 규제보다 관련업계와의 대화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규제를 강화하는 게 사고를 줄일 수는 있지만 반대로 좋은 투자 기회를 박탈하는 양면성이 있다”면서 “업계 관계자들과 대화를 통해 조율하는 게 지금으로선 가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