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을 강행하는 것에 대해 불쾌감을 표하면서 홍콩의 금융 중심지(허브) 지위 유지에도 의문을 드러냈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시도에 불쾌해 하고 있으며 만약 중국이 홍콩을 장악한다면 홍콩이 어떻게 금융 허브로 남을 수 있는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이 홍콩과의 관계를 바꾸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이 취하게 될 정확한 조치에 대해서는 더는 발표할 것이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에 현지 언론들은 홍콩에 부여한 특별지위를 파기하겠다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그간 미국은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가 홍콩 의회를 건너뛰고 직접 홍콩보안법을 제정하면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아왔다. 중국의 '일국양제' 정책에 따라 일정한 자치권을 누리는 홍콩에 특정 법률을 만들겠다는 것은 홍콩 반환시 자치권을 보장한 협정 위반이라는 것이다.
또한 미국은 중국이 홍콩보안법 제정을 강행하면 홍콩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보장하겠다던 중국의 '일국양제' 정책이 폐기된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뜻도 수차례 밝혀왔다. 1992년 제정해 투자나 무역, 관세, 비자발급 등에서 홍콩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한 이른바 홍콩정책법을 없애겠다는 얘기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도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을 놓고 수위 높은 경고의 메시지를 던졌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그들(중국)은 이 국가보안법을 가지고 홍콩을 기본적으로 장악하려는 것처럼 보인다"며 "중국이 장악하면 홍콩은 아시아 금융 중심지로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 알기 힘들다"며 압박 수위를 높인 바 있다. 중국의 이번 조치가 외국 자본의 탈출 현상을 초래해 홍콩이 더는 아시아의 금융 중심지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래리 커들로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역시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 추진 강행에 대해 "실수라고 생각한다"며 "그들은 '한 국가 두 체제'(일국양제)를 해야 하는데, 지금 우리는 (중국이) '한 국가 한 체제'(일국일제)를 하려는 시도를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시도에 불쾌해 하고 있으며 만약 중국이 홍콩을 장악한다면 홍콩이 어떻게 금융 허브로 남을 수 있는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이 홍콩과의 관계를 바꾸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이 취하게 될 정확한 조치에 대해서는 더는 발표할 것이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에 현지 언론들은 홍콩에 부여한 특별지위를 파기하겠다는 의미라고 풀이했다.
그간 미국은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가 홍콩 의회를 건너뛰고 직접 홍콩보안법을 제정하면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아왔다. 중국의 '일국양제' 정책에 따라 일정한 자치권을 누리는 홍콩에 특정 법률을 만들겠다는 것은 홍콩 반환시 자치권을 보장한 협정 위반이라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도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을 놓고 수위 높은 경고의 메시지를 던졌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그들(중국)은 이 국가보안법을 가지고 홍콩을 기본적으로 장악하려는 것처럼 보인다"며 "중국이 장악하면 홍콩은 아시아 금융 중심지로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 알기 힘들다"며 압박 수위를 높인 바 있다. 중국의 이번 조치가 외국 자본의 탈출 현상을 초래해 홍콩이 더는 아시아의 금융 중심지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래리 커들로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역시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 추진 강행에 대해 "실수라고 생각한다"며 "그들은 '한 국가 두 체제'(일국양제)를 해야 하는데, 지금 우리는 (중국이) '한 국가 한 체제'(일국일제)를 하려는 시도를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