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하수도학회를 비롯해 대한하천학회, 한국물환경학회, 한국수자원학회는 지난 29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물관리 그린뉴딜 정책 심포지엄'을 공동으로 열었다.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방향과 실행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앞서 정부는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기 위축과 불확실성 심화의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전환하고 선도형 경제 구축과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 정책을 내놨다. 이를 구성하는 두 가지 축으로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제시했다.
그린 뉴딜은 △도시와 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등을 통해 저탄소 친환경 경제로 전환해 기후변화 대응과 일자리 창출 및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된다.
관련기사
유종일 KDI(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국내외 상황과 한국판 뉴딜을 설명하고 그린뉴딜 추진 전략을 소개했다.
이어 전경수 한국수자원학회장은 ’바람직한 물관리 그린뉴딜‘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디지털 혁신을 접목한 스마트 물관리 기술로 물관리 시설 간 연계를 강화해 기후변화로 인한 수재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방안과 물 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희 한국물환경학회장은 "강의 자연성 회복을 통한 생태와 관광, 경제 활성화 연계 방안과 습지 복원을 통한 자연적인 탄소 배출 감축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창근 대한하천학회장은 '그린뉴딜에 입각한 통합 물관리'에 관한 발표를 통해 "물관리 일원화 이후 현황을 살펴봐야 하며 하천 관리 부처 일원화의 필요성과 농업용수 수요 관리를 포함한 ’통합물수요관리‘ 방안이 접목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자용 대한상하수도학회장은 이날 상하수도 측면의 그린뉴딜을 주제로 현재 상하수도 시스템의 노후화와 지역 간 편차 등을 분석했다. 그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 상하수도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이런 과정에서 일자리도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병기 한국수자원공사 물정책연구소장은 ’한국판 뉴딜과 물복지‘를 주제로 국민 누구나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물복지의 개념을 설명했다. 그는 물관리 그린뉴딜 사업을 통해 물복지를 더욱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자유토론에서 전경수 한국수자원학회장은 “그린뉴딜 추진으로 물인프라의 스마트화는 한층 빨라지고 수열 에너지 등 물에너지는 더욱 확산할 것"이라며 "물 배분 불평등 해소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물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물산업 분야의 성장 등 물 분야에 있어 커다란 변화가 예고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물관리 그린뉴딜을 통한 경제회복 방안과 합리적인 정책 방향을 끌어낼 수 있도록 다양한 논의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