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기지국에서 관측된 지진 데이터가 지진 조기경보 시간을 단축하는 등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활용된다.
SK텔레콤은 9일 기상청, 경북대학교와 손잡고 한반도의 지진 탐지 및 경보 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지진 관측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다고 밝혔다. 전국 기지국, 대리점 등 3000여곳에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기상청의 지진 관측 시스템과 연동시키는 방식이다. SK텔레콤은 연내 파출소, 초등학교 등 8000여곳으로 지진감시센서를 확대해 나간다.
지진감지센서로 관측한 실시간 진동 데이터, 기압 등은 수집서버(EQMS; Earthquake Monitoring System)로 분류돼 기상청에 전송된다. 기상청은 이를 국가 지진 관측망과 융합해 진도정보 생산, 지진 조기경보 분석 등에 활용한다.
현재 기상청은 전국 338개 지진 관측소가 보내오는 자료를 활용해 관측 후 7~25초 내에 지진 조기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SK텔레콤과 협력해 지진 관측 자료가 보강되면, 더욱 정확한 진도정보를 만들수 있게 되고 지진 조기경보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SK텔레콤과 기상청, 경북대는 국가 지진대응체계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내년까지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기상청은 SK텔레콤 기지국 내 설치된 지진감지센서의 진동 데이터를 기상청의 지진 관측 자료와 비교해 지진 분석의 성능을 검증하고, 지진정보 서비스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SK텔레콤의 지진감지센서는 기상청이 활용하는 고성능의 지진 관측 장비와는 달리 소형의 저가형 장비로, 한 뼘 크기의 220V 플러그 타입이라서 설치와 이동이 편리하다. 또 초당 100회의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밀 분석을 통해 일반 진동과 지진을 구분하도록 설계됐다.
향후 SK텔레콤의 기지국·대리점 등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와 국가지진관측소에서 취합되는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면, 지진 경보의 시간 단축과 다양한 진도정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보통 지진파(S파)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이 5초 정도면 책상 아래 등 근거리 대피가 가능하고, 10초 이상이면 건물 밖 대피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지민 기상청 지신화산연구과 연구관은 "2015년부터 시작한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은 발동 시간이 당시 50초 이내에서 2017년 15~25초 이내, 2018년 7~25초로 점차 단축됐다"며 "SK텔레콤의 지진감지센서는 영남지역에서 테스트를 마쳤고, 조기경보 시스템 고도화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연말까지 파출소, 초등학교 등 8000여곳에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 센서를 바탕으로 지진 경보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지진 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소, 철도, 반도체 공장 등 지진 취약 설비와 중요 국가시설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류정환 SK텔레콤 5GX 인프라 그룹장은 "최근 이통3사가 협력한 재난로밍 구현 등 재난상황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기상청, 경북대와 협력한 지진 관측 네트워크를 비롯해 앞으로도 5G 시대에 통신사가 보유한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 사회적 가치 창출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9일 기상청, 경북대학교와 손잡고 한반도의 지진 탐지 및 경보 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지진 관측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다고 밝혔다. 전국 기지국, 대리점 등 3000여곳에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기상청의 지진 관측 시스템과 연동시키는 방식이다. SK텔레콤은 연내 파출소, 초등학교 등 8000여곳으로 지진감시센서를 확대해 나간다.
지진감지센서로 관측한 실시간 진동 데이터, 기압 등은 수집서버(EQMS; Earthquake Monitoring System)로 분류돼 기상청에 전송된다. 기상청은 이를 국가 지진 관측망과 융합해 진도정보 생산, 지진 조기경보 분석 등에 활용한다.
현재 기상청은 전국 338개 지진 관측소가 보내오는 자료를 활용해 관측 후 7~25초 내에 지진 조기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SK텔레콤과 협력해 지진 관측 자료가 보강되면, 더욱 정확한 진도정보를 만들수 있게 되고 지진 조기경보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SK텔레콤의 지진감지센서는 기상청이 활용하는 고성능의 지진 관측 장비와는 달리 소형의 저가형 장비로, 한 뼘 크기의 220V 플러그 타입이라서 설치와 이동이 편리하다. 또 초당 100회의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밀 분석을 통해 일반 진동과 지진을 구분하도록 설계됐다.
향후 SK텔레콤의 기지국·대리점 등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와 국가지진관측소에서 취합되는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면, 지진 경보의 시간 단축과 다양한 진도정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전망이다. 보통 지진파(S파)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이 5초 정도면 책상 아래 등 근거리 대피가 가능하고, 10초 이상이면 건물 밖 대피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지민 기상청 지신화산연구과 연구관은 "2015년부터 시작한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은 발동 시간이 당시 50초 이내에서 2017년 15~25초 이내, 2018년 7~25초로 점차 단축됐다"며 "SK텔레콤의 지진감지센서는 영남지역에서 테스트를 마쳤고, 조기경보 시스템 고도화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연말까지 파출소, 초등학교 등 8000여곳에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 센서를 바탕으로 지진 경보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지진 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소, 철도, 반도체 공장 등 지진 취약 설비와 중요 국가시설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류정환 SK텔레콤 5GX 인프라 그룹장은 "최근 이통3사가 협력한 재난로밍 구현 등 재난상황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기상청, 경북대와 협력한 지진 관측 네트워크를 비롯해 앞으로도 5G 시대에 통신사가 보유한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 사회적 가치 창출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