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은행은 11월 중 주주총회를 열고 김진균 내정자를 차기 행장으로 선임한다. 앞서 지난달 28일 진행된 은행장추천위원회(행추위)에서 단독 후보로 추천된 만큼, 변수가 발생할 확률은 적다. 임기는 기존 3년에서 2년으로 줄었다.
취임 후 최대 과제는 ‘공적자금 상환’이 될 전망이다. 이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뤄져야만, 수협은행이 정부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수협은행은 수협중앙회의 사업부문으로 있던 2001년 정부로부터 공적자금 1조 2000억원 가량을 지원받았다. 이 중 아직까지 상환이 이뤄지지 않은 잔액은 약 8500억원 규모에 이른다. 바로 이 때문에 수협중앙회가 수협은행 발행주식 100%를 소유하고 있어도, 정부의 입김을 받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차기 행장 선임 과정에서도 정부와 수협중앙회 양측은 날 선 대립각을 내내 지속했다.
업계에서는 김 내정자가 공적자금 상환에 의욕적으로 나설 거란 시각이 높다. 지난 29년 동안 줄곧 수협에만 몸 담아온 만큼, 누구보다 독립성 확보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을 거란 분석이다. 단, 이 과정에서 정부 측 관계자들과의 완만한 의견조율도 필요하다. 이 부분은 이동빈 행장과의 관계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협 내부서 김 내정자는 이동빈 행장의 직속 라인으로 분류된다.
업무적으로는 소매금융 확대를 통한 체질 개선, 해외진출, 디지털 전환 등이 과제로 지목된다. 일단 전임 이 행장에 이어 기업대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시도해야 한다. 지난 2016년 기준 77대 23이었던 수협은행의 기업·가계여신 비중은 현재 55대 45까지는 균형이 잡힌 상태다.
빠른 실적 정상화도 필요하다. 2018년 2304억원이던 수협은행의 순이익은 지난해 2192억원까지 줄었다.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도 1038억원으로 전년 대비 좋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김 내정자는 수협에서 주요 지점장과 본부장 등을 거치며 현장 영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는 빠른 수익성 제고 이후, 공적자금 상환 확대 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해외 및 디지털 사업에서는 전임 행장과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해외사업은 미얀마 법인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영향력 확대에 나설 전망이다. 디지털사업은 디지털 본부 중심의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지속 모색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