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지날 생명과 아바타 세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상철 전남대학교 연구석좌교수
입력 2020-12-01 13: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박상철 교수]




<100 to the future> 필자 박상철 교수 =이제 120세 시대로 나아가는 지금. 노화(老化) 연구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박상철 교수의 ‘100 to the future(백, 투더 퓨처)’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박 교수는 서울대 의과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은 뒤 30년간 서울대 의대 생화학과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노화세포사멸연구센터와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장을 역임했고, 현재 전남대 연구석좌교수로 활동 중입니다. 노화 분야 국제학술지 ‘노화의 원리’에서 동양인 최초 편집인을 지냈고 국제 백세인연구단 의장, 국제노화학회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노화 연구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노화이론을 세운 그의 논문은 과학저널 ‘네이처’지에 소개됐습니다.

<100 to the future>는 100세까지 보편적으로 사는 미래에 대비하자는 의미로, 영화 '백 투더 퓨처'의 미래 귀환 뉘앙스를 차용한 시리즈 제목입니다. 이제 우리는 100세 시대를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앞당겨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필자는 그 길어진 삶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건강하고 풍요로운 내일에 대해 실감나게 짚어나갈 계획입니다. <편집자주>




코로나 사태가 전세계적으로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수많은 희생자들이 발생하면서 생명에 대한 여러가지 상념에 젖어본다. 특히 최근 부각되고 있는 생명복제의 논의는 새로운 논쟁을 유발하고 있다. “하나님이 자기 형상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창조하시고(창세기 1:27)” 하나님이 자신의 모습 그대로 복제하여 인간을 창조하였다는 말씀은 태초부터 복제가 생명체의 형상 원리로 작동했다는 인식이다. 중국의 4대 기서 중의 하나인 서유기에 나오는 제천대성(齊天大聖) 손오공이 72반 도술로 81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머리털을 뽑아 분신을 만드는 것도 복제술의 전형적 사례이다. 조선조의 도술사 전우치가 분신술을 시행했다는 등의 고사는 생명체의 복제에 의한 분신술 개념이 일반인들의 상상 속에 일찍이 깊숙이 박혀 있음을 본다. 근자에는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에서도 인간을 목적에 따라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입실론 등으로 복제 생산해내는 인간 제조공장이라는 개념까지 등장하였다. 더욱 근년에 공전의 대히트를 한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아바타(Avatar)라는 영화는 인간과 나비족을 복제한 아바타를 실용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제 인간의 역량은 신화나 상상 속에서 염원하였던 일들을 결코 무의미하거나 얼토당토않은 엉뚱한 일로 남겨놓지 않고 구체적 현실로 바꾸어가고 있다. 생명체의 인위적 복제 가능성은 불로장생을 추구해 왔던 인간에게 자신과 꼭 같은 생명체를 만들어 수명을 승계할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호사가들에게 수명연장의 무한한 욕망을 새롭게 불러일으키고 있다.

생명체의 분신이나 복제 기술이 과학적으로 처음 시도된 것은 벌써 100년 전이다. 도롱뇽의 수정란을 머리카락으로 두 개로 나누어 유전적으로 동일한 두 마리의 개체를 만들어 내어 생물학 발전에 전환점을 이룬 사건이었다. 이후 영국의 거든 박사는 수정란이 아닌 미수정란을 대상으로 동물 복제를 성공하였다. 개구리 알의 핵을 제거하고 다른 개구리 장(腸)세포의 핵을 이식해 다수의 복제 개구리를 만들어냈다. 이후 포유동물에서 체외 수정한 수정란을 대리모에 이식하여 출산한 시험관 동물 출산법의 성공은 바로 실용화로 이어져서 동물복제 방법론을 완성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개발은 수정란을 분할하여 생성한 배아를 인공 배양해 대리모의 자궁을 빌려 다량의 복제동물을 출산하는 방법으로 정착하여 포유동물인 생쥐, 면양, 소와 돼지 등에서 차례로 성공하게 이끌었다. 이 획기적 기술의 결정적 전기는 영국의 윌머트와 캠벨이 체세포 핵을 이식하여 복제 양 돌리를 탄생시킨 사건이다. 포유동물의 생식세포가 아닌 체세포를 이용한 복제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6년생 암양의 유방 세포에서 핵을 꺼내 다른 양의 미수정란에 있는 핵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넣은 다음,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해 태어나게 한 것이다. 이후 생쥐, 소, 개 등에서도 체세포핵이식 복제가 차례로 이루어졌다. 얼마 전에는 중국에서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복제가 성공하여 영장류 복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체세포 핵치환기술은 진화과정에 역행하는 인위적이고 파격적인 생명복제 기술이다. 정상적인 수정에 의하여 출산하는 생물학적 생식은 아비와 어미와는 다른 그러나 양성에서 얻은 유전자를 섞어 보다 나은 새로운 유전체를 창출하여 진화의 원동력을 이루는 데 반하여, 체세포복제는 원래 세포의 핵을 그대로 사용했기에 유전형질이 대리모와는 전연 관계없고 핵을 제공한 개체와 100% 똑같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생명체의 중요한 속성인 진화와는 거리가 멀다. 다시 말하면 그동안 생명체의 적응과 변화 발전의 근간이었던 진화를 중단시키는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원래 세포와 꼭 같은 유전형질을 가진 세포를 제조하여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켜 온전한 개체를 태어나게 할 수 있다는 기술은 생명철학의 근간을 뒤흔든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더욱 포유동물과 영장류에서의 체세포복제 성공은 인간 세포의 복제 가능성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다. 나아가서 인위적으로 설계한 유전형질을 가진 인간을 탄생시킬 수도 있다는 가능성은 생명윤리에 엄청난 후폭풍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생명 복제 기술은 질병치료에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가치가 인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불임 해결 또는 치유 불능 유전적 결함을 근원적으로 개선하고, 면역적으로 자유로운 장기를 확보할 수 있다면 장기이식분야의 의료적 측면에서는 새로운 장을 이룰 수도 있다. 더욱 생명체 유전자의 재생 활용이 가능하고, 멸종한 생물의 복원도 시도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무조건 중단을 강요할 수만은 없는 실정이다.

복제기술이 발전되면서 놀라운 사실은 늙은 동물에서 추출한 세포로도 정상적인 개체를 복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바로 그동안 노화는 세포 내 누적되어온 손상의 결과이기 때문에 복구가 불가능한 비가역적 변화라는 주장을 번복하게 한 사건이다. 복제되는 과정에서 세포 내 손상된 부위들이 자동으로 개선되고 회복되었다는 사실은 학계를 놀라게 하였다. 나아가서 체세포 복제를 통해서라도 수명을 연장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내 몸과 꼭 같은 유전형질을 가진 분신인 아바타를 만들어 내 몸의 고장난 부위를 바꿀 수 있다는 가능성은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생명을 복제품으로 바꾸어야 하느냐 아니면 고쳐야 하느냐(Replace or Restore)의 과제는 오리지널 진품과 카피 복제품의 갈등이다. 진품 예술품과 카피 복제품의 가격차이가 그 답을 대변하고 있다. 인간이 만든 예술품도 그러한데, 오직 하나뿐인 생명의 경우에 진품의 소중함은 더할 바가 없다. 있는 그대로의 생명체를 소중하게 여기고 고장 난 부위가 있거나, 부족한 기능이 있으면, 비록 마음에 들지 않은 점이 있더라도 최선을 다하여 고쳐서 진품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여 장수를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간을 공법에 따라 기계적으로 제작하고, 임의적 설계에 의하여 변형할 수 있는 존재로 바꾸어 버리는 복제는 개개인의 가치나 존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다. 과연 이러한 방법까지 동원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깊은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과학기술의 발전 특히 생명과학의 발전과정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인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본격적인 논쟁을 벌여야 할 때가 도래하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