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영진 대구시장. [사진=대구시 제공]
권영진 대구시장은 25일 확대 간부 영상회의에서 “올해는 대구가 직할시로 분리된 지 40년이 되는 해다"면서, 지난 40년간 인구, 재정 등 주요 통계 지표를 짚어가며 심화한 수도권 집중과 반면에 낮아진 대구·경북의 위상을 우려하며 “수도권 집중이 심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과연 대한민국의 미래가 있을지, 대구·경북의 미래를 이대로 설계해도 될지 정말 어려운 실정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40년간 우리나라 인구가 1300만 명 정도가 늘어날 동안 대구·경북의 인구는 1981년 502만 명에서 2019년 510만 명으로 거의 제자리걸음 수준이다”라며, “전국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에서 5% 이하로 떨어졌다”며 대구·경북의 어려운 현실을 강조했다.
그동안 대구·경북의 재정 규모는 많이 늘어난 반면 자주 재원의 비율은 오히려 많이 줄었다. 1981년 88.1% 정도였던 대구시의 재정자립도가 2016년 51.6%, 지금은 50% 이하로 줄어들 만큼 정부 의존도가 높아지고 수도권 집중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 상황처럼 심화한 수도권 집중과 낮아진 대구·경북의 위상 속에서 권영진 시장은 “이에 대한 돌파구의 하나로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제안하고 공론화위원회를 만들었다. 지금 코로나19로 공론화 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아 2022년 7월 대구·경북특별광역시 출범이 제대로 될지 걱정스럽지만, 우리의 통합 논의는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다”라면서, “공론화위원회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시·도민들이 통합으로 갖는 장단점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대구시 김정섭 대변인은 권 시장이 회의를 마치는 인사말에 “시도의 통합 이 모든 것은 시·도민들의 선택에 달려 있다. 최선을 다해서 시·도민에게 정보를 드리고 토론의 장을 만드는 것이 대구시와 경상북도 행정이 해야 할 일이다”라며, 다가오는 설 연휴 대책과 관련해서는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고 즐거운 명절, 소외당하는 시민이 없는 명절이 될 수 있도록 문화, 교통, 환경, 복지 등 분야별로 평소보다 더욱 많이 고민해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