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 건강증진개발원에서 열린 코로나19 백신접종 의정공동위원회 2차회의에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2일 오후 충북 오송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백신 접종을 거부하고 확진이 됐다 하더라도 추가적인 전파에 대해서는 구상권 청구를 할 계획이 현재로서는 없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현재 백신 접종은 모든 국민들 대상으로 본인의 동의 기반으로 접종을 시행하고 있다"며 "물론 정말 필요한 데는 의무사항으로 둘 수 있지만, 아직은 의무적으로 접종을 적용하고 있는 그런 대상은 없다"고 부연했다.
앞서 정부는 요양병원·요양시설 종사자가 접종을 거부한다고 해도 근무를 제한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백신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방역 책임자 등이 먼저 접종할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정 본부장은 "예방접종에 대한 국민 불안이 크고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사회 저명인사나 보건의료계 대표가 (먼저) 접종할 수 있다"면서도 "현재는 그런 상황이 아니고, 접종 동의율이 상당히 높게 나왔기 때문에 순서에 따라 접종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 본부장은 정치권에서 국내 코로나19 1호 접종자로 문재인 대통령을 제안하자 '국가원수(문재인 대통령)가 실험대상인가'라는 발언이 나온 것과 관련해 "적절치 못한 표현"이라고 지적하며 "백신을 맞는 모든 국민은 누가 되든 실험대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