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일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서울특별시 정차·주정차위반 차량 견인 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통과됐다. [사진=연합뉴스]
코리아스타트업포럼 퍼스널모빌리티 산업협의회(SPMA)는 지난 4일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서울특별시 정차·주정차위반 차량 견인 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에 대해 “계도기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SPMA는 6일 보도자료를 내고 “본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해 시민들이 퍼스널모빌리티(PM)기기 이용 시 혼란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시가 통과시킨 조례안에는 △차도 △지하철역 진·출입로 △버스정류소·택시승강장 10m 이내 구역 △점자블록 위 △교통약자 엘리베이터 진입로 주변 △횡단보도 진입 방해 구역 등에 주·정차된 기기는 즉시 견인조치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PM업계는 즉시 조치 구역 지정의 취지와 필요성에는 공감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버스정류소·택시승강장 10m 이내 구역은 광범위하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해당 구역은 ‘원활한 도로교통의 흐름 내지는 보행자의 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경우’ 등의 단서조항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SPMA는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설정돼야 한다”면서 “PM기업들은 앱내 팝업창, 공지사항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가이드라인에 설정된 주차 가능 구역에서의 기기 반납을 유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PM기기는 넘어뜨리거나 견인지역으로 이동시키기가 쉬워 올바르게 주차된 기기를 순식간에 견인 조치 대상으로 만들 수 있다”면서 “이를 악용한 악성·부정신고가 반복된다면 PM업계의 생태계를 고사시켜 신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SPMA는 공유 PM산업의 건강한 발전과 올바른 이용문화 정착을 목표로 결성된 기업협의회다. 전국 단위에서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업들을 포함해 현재 12개 공유 PM기업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SPMA는 6일 보도자료를 내고 “본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해 시민들이 퍼스널모빌리티(PM)기기 이용 시 혼란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시가 통과시킨 조례안에는 △차도 △지하철역 진·출입로 △버스정류소·택시승강장 10m 이내 구역 △점자블록 위 △교통약자 엘리베이터 진입로 주변 △횡단보도 진입 방해 구역 등에 주·정차된 기기는 즉시 견인조치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PM업계는 즉시 조치 구역 지정의 취지와 필요성에는 공감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버스정류소·택시승강장 10m 이내 구역은 광범위하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해당 구역은 ‘원활한 도로교통의 흐름 내지는 보행자의 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경우’ 등의 단서조항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PM기기는 넘어뜨리거나 견인지역으로 이동시키기가 쉬워 올바르게 주차된 기기를 순식간에 견인 조치 대상으로 만들 수 있다”면서 “이를 악용한 악성·부정신고가 반복된다면 PM업계의 생태계를 고사시켜 신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SPMA는 공유 PM산업의 건강한 발전과 올바른 이용문화 정착을 목표로 결성된 기업협의회다. 전국 단위에서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업들을 포함해 현재 12개 공유 PM기업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