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첫 번째 전용전기차 '아이오닉5' [사진=현대자동차]
3일 완성차 5사가 지난해 판매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글로벌 시장을 강타한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전체 판매가 2.5% 증가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국내외 시장에 389만981대를 판매했다. 코로나19 사태와 차량용 반도체 품귀로 인한 생산 차질에도 전년보다 판매가 3.9% 늘어났다. 내수에서는 72만6838대로 전년 대비 7.7% 감소를, 해외에서는 316만4143대로 전년 대비 7.0% 증가한 결과를 얻어낸 덕분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차량용 반도체 대란 등의 영향으로 내수 판매가 감소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기저효과와 미국과 유럽, 신흥시장 등 글로벌 시장 수요 회복이 판매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현대차는 지난해 친환경차 판매에서 비약적 성장이 이뤄졌다. 전기차가 전년 대비 128.1% 성장한 4만2448대로 성장세가 두드러졌으며, 하이브리드차는 3.4% 높아진 6만8416대, 수소전기차(넥쏘)는 46.9% 성장한 8502대를 판매했다. 현대차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의 성공적인 시장 진출에 힘입어 후속 전용 전기차 모델 출시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는 계획이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역시 13만8756대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8.0% 상승의 순항을 이어갔다. 모델별로 ‘G80’ 5만9463대, ‘GV70’ 4만994대, ‘GV80’ 2만4591대, ‘G70’ 7420대, ‘GV60’ 1190대 순이다.

기아의 첫 번째 전용전기차 ‘EV6’ [사진=기아]]
가장 많이 팔린 차종은 ‘스포티지’ 36만3630대, ‘셀토스’ 29만8737대, ‘K3(포르테)’ 24만627대 순이다. 해외로 국한하면 스포티지 32만3868대, 셀토스 25만8647대, ‘프라이드(리오)’ 21만9958대 순이다. 기아는 올해 국내 56만2000대, 해외 258만8000대 등 총 315만대 판매 목표를 제시했다. 현대차와 기아의 판매 합산 목표는 약 747만대로 지난해 목표인 708만2000대(현대차 416만대, 기아 292만2000대)와 비교했을 때 5.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판매실적(666만8037대)과 비교하면 12.1% 늘어났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수출 주력차종인 ‘XM3’이 지난해 실적을 좌우했다. 내수 판매는 전년 대비 36.3% 감소한 6만1096대로 부진했지만, XM3를 앞세운 수출이 254.3% 대폭 증가하면서 총 판매 7만1673대를 기록했다. 합산 판매는 전년 대비 14.3% 증가한 13만2769대다.
지난해 기업회생절차와 인수합병(M&A) 등 경영 어려움과 함께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까지 이중고에 시달린 쌍용자동차는 지난해 국내외 시장에서 8만4496대(완성차 8만4106대+반조립 390대)를 판매, 전년 대비 21.3% 줄어든 실적을 냈다. 내수는 전년 대비 35.9% 감소한 5만6363대를 기록했지만, 수출은 44.1% 증가한 2만8133대(완성차 2만7743대+반조립 390대)를 보였다.
한국지엠은 지난해 23만7044대 판매에 그쳐 전년 대비 35.7% 낮아졌다. 내수와 수출이 각각 34.6%(5만4292대), 36.0%(18만2752대) 줄어들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한 생산차질이 실적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쌍용자동차 '코란도' [사진=쌍용자동차]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