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 DB]
신협의 중금리 대출 상품인 ‘815 해방대출’ 이용자가 6만명을 넘어섰다. 경기 침체와 금리 상승이 겹쳐 불법 사금융이 급팽창하는 상황에 금융 취약계층의 방어막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는 사회공헌사업 범위를 더욱 넓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3일 신협중앙회에 따르면 ‘815 해방대출’ 취급 건수는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6만690명을 기록했다. 2019년 8월 출시 이후 약 3년 반 만에 거둔 성과다. 총 취급액은 6274억원이며, 평균 취급 금리는 연 6.3%로 집계됐다. 이 상품을 취급한 조합 수만 연평균 644곳에 달했다.
815 해방대출은 기존 고금리 대출을 최대 2000만원까지 연 3.1~8.15%인 중금리로 전환해 주는 게 특징이다. 신규 신용대출은 시중은행보다 유리한 조건을 보장해준다. 이에 금융기관 문턱을 넘기 어려워 대부업에 눈을 돌리고 있는 저신용·저소득 취약계층에 탈출구 역할을 해왔다. 이 상품의 취급량과 비례하게 금융약자들을 고리사채시장에서 구제한 셈이다. 대상 고객 범위도 서민·자영업자·직장인 등으로 넓다. 최저 금리인 3.1%는 3·1절에서, 최대 금리인 8.15%는 광복절인 8월 15일에서 각각 따왔다.
신협은 올해 더욱 적극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위해 기존 7대 포용금융 사업을 8대 포용금융으로 확대했다. 추가된 항목은 ‘다문화 가구 지원사업’이다. 자녀가 있는 다문화 가구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사회공헌 성격의 여·수신 상품을 약 2만가구에 총 1300억원 규모로 공급한다.
대출과 관련해선 ‘더불어 사회 나눔 지원 대출’을 다문화가족에게 연 2% 저금리 신용대출로 지원한다. 가구당 최고 1000만원 한도며 대출 기간은 최장 2년이다. 수신 상품으로는 ‘신협 다드림 적금’을 내놨다. 월 30만원까지 최장 1년간 이용할 수 있고, 기본이율 3.5%에 우대이율 3.5%를 더해 최고 연 7% 금리를 보장해준다.
소상공인 지원사업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지역 소상공인의 경영 개선을 위해 금융상담 및 대출 취급, 물품 구매, 점포 환경 개선, 상권 분석, 전문가 상담 등을 돕는다. 2019년을 시작으로 작년까지 소상공인 총 1만1131명과 결연해 4만3343회에 걸쳐 지원을 펼쳤다.
신협 관계자는 “국내 신협의 시초는 1960년 휴전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고리 사채를 타파하기 위해 미국인 선교사 가브리엘라 수녀와 시민 27명이 십시일반으로 10만원을 모아 설립한 성가신협”이라며 “이러한 초기 신협 운동의 정신을 잊지 않고 이익을 조합원과 조합원이 속한 지역사회로 환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