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올해 본 예산 1조8450억원 대비 550억원(3%) 늘어난 규모다.
지방교부세는 국세수입 감소로 340억원 줄었지만, 국·도비 보조금은 경주시가 국회와 중앙 부처를 설득한 끝에 703억원 늘었다.
이처럼 지방교부세 감소와 국·도비 증가로 시비 매칭 예산이 늘어남에 따라 불요·불급사업 조정 및 행사·축제성 예산 감액과 자체 노력의 일환으로 업무추진비 등 경상경비 삭감으로 강력한 세출 구조화를 단행했다.
특히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과 노인 등 취약 계층과 서민 생활 안정 예산을 증액하며 사회적 약자 배려는 물론 서민 경제 안정에 초점을 맞췄다.
세부 예산안을 살펴보면 사회복지분야가 5152억원(27.1%)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공공질서 및 안전·환경 2391억원(12.6%), 국토 및 지역개발 2384억원(12.5%), 농림해양수산 2178억원(11.5%), 문화·관광 1697억원(8.9%), 교통·물류 795억원(4.2%) 순으로 배정했다.
중점 사업별로는 신농업혁신타운 조성 150억원, 통합 환승주차장(황남), 안강, 선도 등 공영주차장 조성 87억원, 출산축하금 및 장려금 51억원, 현곡체육공원 조성 44억원, 어촌뉴딜 42억원, 제2금장교 건설 36억원, 동천~황성 도시숲 조성 24억원 등을 편성했다.
또 어르신 무료 택시 운영 지원 42억원, 아동양육시설(성애원, 대자원) 운영 지원 36억원, 교통 약자 이동 차량 운영 지원 15억원을 편성했다.
특히 서민 생활 안정과 민생 경제 활력 도모에 중점을 두고 경주 페이 85억원, 중소기업 운전자금 지원 41억원, 소상공인 특례보증 및 카드수수료 지원 24억원, 중심상권 르네상스 12억원 등을 편성했다.
이 밖에도 창업 및 일자리 지원 23억원, 청년 임대주택 운영 15억원, 청년 월세 및 전세보증금 보증료 지원 3억원 등 청년 정책과 e-모빌리티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55억원, 혁신원자력연구단지 조성 30억원(351억원 국가 직접 편성), 해양레저관광 거점조성 27억원(총 사업비 490억원) 등 미래성장동력 마련에도 심혈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내년도 예산안은 시의회 정례회를 거쳐 내달 13일 최종 결정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2024년도 본 예산안은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 서민 생활 안정과 민생 경제 활력을 도모하는 동시에 첨단미래과학도시로 비상하기 위한 미래경제발전 성장동력 마련에 초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